D

Deep Research Archives

  • new
  • |
  • threads
  • |
  • comments
  • |
  • show
  • |
  • ask
  • |
  • jobs
  • |
  • submit
  • Guidelines
  • |
  • FAQ
  • |
  • Lists
  • |
  • API
  • |
  • Security
  • |
  • Legal
  • |
  • Contact
Search…
threads
submit
login
▲
트럼프 관세와 일본 3대 기업의 미래: 파나소닉, 토요타, 소니의 생존 전략 심층 분석(docs.google.com)

1 point by adroot2 2 months ago | flag | hide | 0 comments

트럼프 관세와 일본 3대 기업의 미래: 파나소닉, 토요타, 소니의 생존 전략 심층 분석

Executive Summary

본 보고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제안한 보호무역주의 관세 정책이 일본의 대표적인 다국적 기업인 파나소닉, 토요타 자동차, 소니 그룹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심층 분석한다. 이 관세 정책은 단순히 개별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단기적 위협을 넘어, 지난 수십 년간 유지되어 온 글로벌 공급망의 근본적인 재편을 강제하는 구조적 충격으로 작용하고 있다. 분석 결과, 세 기업은 각기 다른 사업 구조와 전략적 포지셔닝에 따라 상이한 수준의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방식 또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토요타 자동차는 이번 관세 정책의 가장 직접적이고 심각한 타격 대상이다. 미국 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일본 및 멕시코로부터의 상당한 규모의 완성차 및 부품 수입 구조는 25%에 달하는 자동차 관세에 고스란히 노출된다.1 이는 연간 1조 엔 이상의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실존적 위협이며, 토요타는 1980년대 미일 무역 마찰 당시와 유사하게 미국 내 생산 확대 및 공급망 현지화라는 고비용의 정공법으로 대응하고 있다.2 그러나 이는 일본 내 생산 기반의 공동화를 초래할 수 있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

반면, 파나소닉은 수년간의 전략적 전환을 통해 놀라울 정도의 관세 회피 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저마진의 소비자 가전 사업에서 탈피하여, 테슬라와의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한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이라는 핵심 산업으로 성공적으로 피벗(pivot)했다.4 네바다와 캔자스에 위치한 대규모 미국 공장은 파나소닉을 단순한 수입업체가 아닌, 미국 제조업 부흥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게 했다.5 나아가 캐나다산 흑연 공급 계약 등 북미 중심의 '탈중국' 공급망 구축 노력은 파나소닉에 강력한 '정치적 해자(political moat)'를 제공하며 관세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상쇄하고 있다.7

소니 그룹은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덕분에 가장 복합적인 리스크 프로파일을 보인다. 핵심 수익원인 게임 & 네트워크 서비스(G&NS) 사업부의 플레이스테이션 콘솔은 현재 무관세 품목으로 분류되어 직접적인 타격은 피하고 있으나 8, 보편 관세가 적용될 경우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 Xbox와의 가격 경쟁 구도가 급변할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를 안고 있다.9 반면, 이미지센서(I&SS) 사업은 스마트폰, 자동차 등 관세 대상 완제품의 수요 감소에 따른 간접적인 타격에 노출되어 있다.11 그러나 음악, 영화 등 지적재산권 기반의 콘텐츠 사업은 물리적 국경을 넘나드는 관세의 영향에서 자유로워 그룹 전체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강력한 방패 역할을 한다.12

결론적으로, 트럼프 관세는 글로벌 기업들에게 비용 효율성 중심의 공급망 전략에서 벗어나 지정학적 리스크를 관리하고 공급망을 지역별로 분산시키는 '회복탄력성' 중심의 전략으로 전환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 세 기업의 사례는 이러한 거대한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기업의 생존과 번영이 단순히 운영 효율성을 넘어, 얼마나 기민하게 정치적, 경제적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자사의 사업 모델을 재편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Section 1: The New Tariff Doctrine: A Framework for Analysis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단일 세율을 적용하는 단순한 조치가 아니다. 이는 보편 관세, 상호 관세, 특정 품목 관세 등 여러 층위의 복합적인 무역 장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국의 무역 구조와 정치적 관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정교한 압박 수단이다. 따라서 파나소닉, 토요타, 소니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 관세 체계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고, 이것이 촉발하는 거시경제적 파장과 일본 정부의 외교적 대응이라는 더 넓은 맥락 속에서 기업들의 전략을 평가해야 한다.

1.1. Anatomy of the Tariff Threat: Deconstructing the "25%"

사용자가 질의한 '25% 관세'는 실제로는 여러 정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나타나는 일본에 대한 실효 관세율을 의미한다. 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Universal Baseline Tariff (보편적 기본 관세): 트럼프 행정부는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선언을 통해 모든 국가의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13 이는 자유무역의 기본 원칙을 흔드는 전면적인 조치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 경쟁력에 새로운 하한선을 설정하는 효과를 가진다. 영국과 같이 미국에 대해 무역 흑자를 기록하는 국가조차 이 10% 관세의 적용 대상이 된다.14
  • Reciprocal Tariff (상호 관세): 보편 관세 위에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추가 부과되는 징벌적 성격의 관세다. 이는 미국이 특정 국가에 대해 겪는 무역 적자 규모나 해당 국가가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 등을 근거로 산정된다. 일본의 경우, 이 상호 관세율이 24%에서 25% 수준으로 책정되었다.1 중요한 점은 보편 관세와 상호 관세가 합산되지 않고, 더 높은 세율인 상호 관세가 적용된다는 것이다.14 따라서 일본산 제품 대부분은 사실상 25%에 가까운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 Sectoral Tariffs (Automotive) (자동차 부문 특별 관세):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하여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자동차 및 관련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별도로 부과하는 조치다.1 이는 일본의 최대 수출 품목이자 토요타의 핵심 사업을 직접 겨냥하는 가장 치명적인 무기다. 이 관세는 상호 관세와는 별개로 특정 산업에 집중된 타격을 가한다.
  • Sectoral Tariffs (Steel & Aluminum)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관세): 이미 시행된 철강 25%, 알루미늄 10% 관세는 2025년 들어 50%로 인상되었으며, 그 적용 범위가 냉장고, 세탁기 등 철강을 사용하는 '파생 상품(derivative products)'으로까지 확대되었다.18 이는 자동차를 생산하는 토요타는 물론, 미국 내에서 가전제품이나 배터리 공장을 운영하는 파나소닉, 삼성, LG 등에도 원자재 비용 상승이라는 2차적인 충격을 가한다.21
  • China-Specific Tariffs (대중국 특별 관세): 일본 기업에 직접 적용되지는 않지만, 최대 145%에 달하는 대중국 관세는 글로벌 공급망 전체를 뒤흔드는 변수다.13 많은 일본 기업들이 중국에서 부품을 조달하거나 완제품을 조립하여 미국으로 수출하기 때문에, 이들 기업은 '무역 굴절(trade deflection)' 현상에 따른 간접적인 피해에 노출된다.23 즉, 중국을 우회하기 위한 공급망 재편 비용이 발생하거나, 중국산 제품의 대체재를 찾는 과정에서 새로운 경쟁에 직면하게 된다.

이처럼 복잡하고 유동적인 관세 구조는 기업들에게 극심한 불확실성을 안겨준다. 관세율이 행정명령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고, 90일간의 적용 유예와 같은 조치가 예고 없이 발표되는 등 예측 불가능성이 높다.22 이는 관세가 단순한 경제 정책이 아니라, 협상력을 극대화하고 상대국을 압박하기 위한 정치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기업의 대응 전략은 단순히 비용을 계산하는 경제적 모델링을 넘어, 정치적 리스크를 관리하고 로비 활동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수밖에 없다.

1.2. Macroeconomic Shockwaves and Diplomatic Headwinds

이러한 전례 없는 관세 정책은 개별 기업의 손익을 넘어 일본 경제 전체와 글로벌 무역 질서에 심대한 파장을 미치고 있다. 주요 경제 연구 기관들은 일제히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범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 Economic Impact Analysis (거시경제 영향 분석):
    • 일본 경제에 대한 직접적 타격: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일본의 대미 수출 감소, 설비 투자 위축, 민간 소비 감소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며, 일본의 실질 GDP가 0.7%에서 최대 1%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17 특히 일본 경제의 중추인 자동차 산업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으면서 관련 산업 생태계 전반의 약화가 우려된다.17 다이와 종합연구소는 자동차 관세만으로도 일본 경제가 0.36% 위축될 것으로 추산했으며 1, 미즈호 리서치 앤 테크놀로지스는 그 파급 효과가 운송용 기계 부문의 부가가치가 10% 감소하는 것과 맞먹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1
    • 미국 및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IIE)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의 관세는 미국과 세계 경제 성장을 현저히 둔화시키고 인플레이션을 촉발한다.25 특히 미국의 농업과 내구재 제조업이 생산 및 고용 감소, 가격 상승의 형태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25 예일대 예산 연구소(Yale Budget Lab)는 모든 관세가 적용될 경우 미국의 평균 실효 관세율이 1909년 이후 최고 수준인 22.5%에 달하며, 이로 인해 미국 가구당 연간 평균 3,800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27 이는 관세의 부담이 궁극적으로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됨을 시사한다.
  • The Japanese Government's Response (일본 정부의 대응):
    • 외교적 총력전 및 협상 카드: 일본 정부는 관세 부과 발표 직후부터 즉각적인 고위급 협상에 착수했다.28 아카자와 경제재생담당상이 직접 워싱턴을 방문하여 관세 철폐를 강력히 요구하는 등 외교 채널을 총동원하고 있다.28 일본은 협상 테이블에 올릴 다양한 카드를 준비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미국산 자동차 수입 확대를 위한 안전 기준 등 비관세장벽 완화, ▲쌀 수입 쿼터 확대 등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미국산 LNG 수입 확대 및 알래스카 개발 사업 참여, ▲과도한 엔저 현상을 시정하기 위한 환율 정책 공조 등이 포함된다.1 이는 미국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일본의 국익을 최대한 지키는 선에서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도출하려는 치밀한 전략이다.
    • 국내 산업 보호 및 지원책: 일본 정부는 내각총리대신을 본부장으로 하는 '종합대책본부'와 실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범정부 차원의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1 이와 함께, 관세로 피해를 입는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긴급 대책 패키지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등을 통한 기업 상담 창구 마련, ▲고용 유지를 위한 지원금 지급, ▲저소득층 대상 현금 지원 및 소득세 감면, ▲지역 상품권 발행을 통한 내수 소비 진작 등이 있다.29 이는 관세의 외부 충격을 완화하고 국내 경제의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다.
    • 다자주의 및 법적 대응: 일본은 미국과의 양자 협상에 주력하면서도, G7 등 다자회의를 통해 자유무역 원칙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28 또한,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조치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 특히 모든 회원국을 동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최혜국 대우(Most-Favored-Nation, MFN)' 원칙에 위배될 소지가 크다고 보고, WTO 제소를 포함한 법적 대응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28 이는 협상력을 높이고 국제적 명분을 확보하기 위한 다층적 전략의 일환이다.

이러한 거시적 환경은 개별 기업의 운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관세의 직접적인 비용 부담뿐만 아니라,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 환율 변동성 확대, 공급망 재편 압력 등 복합적인 리스크에 직면하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관세가 동맹국인 일본을 겨냥하고 있다는 점은 '동맹의 역설'을 낳는다. 미국은 안보적으로는 일본과의 협력을 강조하면서 경제적으로는 압박을 가하고 있어, 일본 기업들은 전통적인 외교 관계에만 의존할 수 없는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 있다.32 이는 장기적으로 일본이 미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줄이고 다른 지역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시사한다.17

Section 2: Toyota Motor Corporation: A Head-On Collision with Protectionism

토요타 자동차는 이번 트럼프 관세 정책의 폭풍 한가운데에 서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자랑하는 토요타의 생산 방식과 글로벌 공급망은 역설적으로 이번 보호무역주의의 핵심 표적이 되었으며, 회사는 창사 이래 가장 심각한 수준의 지정학적 리스크에 직면했다. 관세가 토요타의 재무 구조와 생산 전략, 나아가 일본 자동차 산업 전체에 미칠 파장은 실로 막대하다.

2.1. Quantifying the Financial Catastrophe

관세가 토요타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한 비용 증가를 넘어 기업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수준이다. 여러 기관의 분석과 토요타 스스로의 전망은 그 심각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 직접적 이익 감소 추정: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는 매우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며 경고했다. 무디스는 장기화된 미국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다른 완화 요인을 고려하기 전에 토요타의 연간 영업이익이 1조 엔(약 70억 달러) 이상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2 이는 토요타의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에서 '안정적'으로 하향 조정한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토요타 역시 자체적으로 2025년 4월과 5월, 단 두 달간의 관세 영향만으로도 1,800억 엔(약 12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며 위기의 심각성을 인정했다.13 2026년 3월 마감 회계연도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관세는 토요타의 재무 건전성에 즉각적이고 막대한 타격을 가하고 있다.13
  • 일본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 토요타에 대한 충격은 일본 경제 전체의 위기로 확산된다. 다이와 종합연구소는 미국의 자동차 및 관련 부품 관세 부과만으로도 일본의 GDP가 0.36%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으며, 이는 토요타가 일본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지극히 현실적인 예측이다.1 미즈호 리서치 앤 테크놀로지스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관세의 파급 효과가 일본 전체 운송용 기계 부문의 부가가치가 10% 감소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1 이는 토요타와 연계된 수많은 1, 2, 3차 협력업체들의 연쇄적인 경영 악화와 고용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관세 문제가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일본의 산업 기반 자체를 위협하는 국가적 과제임을 보여준다.

2.2. The North American Production Triangle: A Model-by-Model Vulnerability Analysis

토요타의 '판매하는 곳에서 생산한다(build where you sell)'는 전략은 오랫동안 글로벌 경영의 모범 사례로 꼽혀왔다. 그러나 이번 관세 정책은 이 전략의 허점을 정밀하게 파고들며, 토요타의 북미 생산 체계가 가진 복합적인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 수입-수출 불균형의 리스크: 토요타는 미국 내에서 상당한 규모의 생산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막대한 물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3년 기준, 토요타는 미국에서 120만 대의 차량을 생산했지만, 이는 미국 전체 판매량의 절반을 약간 넘는 수준에 불과하다.35 나머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본에서 60만 대의 완성차를 미국으로 수출했다.35 이 60만 대의 차량은 25% 자동차 관세의 직접적인 적용 대상이 되며, 이는 토요타가 직면한 가장 즉각적이고 명백한 리스크다.
  • 멕시코 생산 기지의 딜레마: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체제 하에서 토요타는 멕시코를 북미 생산의 중요 거점으로 활용해왔다. 특히 인기 픽업트럭인 타코마(Tacoma)와 같은 모델이 멕시코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출된다.35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멕시코산 수입품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어 23, 멕시코 공장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이는 토요타의 북미 생산 전략 전체를 재검토하게 만드는 중대한 위협 요인이다.
  • AALA 부품 현지화 비율의 함정: 미국자동차표시법(AALA)에 따른 부품 원산지 데이터는 토요타의 취약성을 더욱 세밀하게 보여준다. 최종 조립이 미국에서 이루어지더라도, 핵심 부품의 상당 부분이 일본이나 다른 국가에서 수입될 경우 해당 부품 가치에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 이는 'Made in America' 라벨 뒤에 숨겨진 글로벌 공급망의 리스크를 드러낸다.37

다음 표는 주요 토요타 및 렉서스 모델의 AALA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취약성 분석이다.

모델명최종 조립 공장 (국가)미국/캐나다 부품 비율 (%)엔진 원산지 (국가)변속기 원산지 (국가)주요 해외 부품 공급국 1 (국가)관세 취약성 평가
Grand Highlander미국65%미국일본일본 (25%)중간: 미국 조립이지만, 변속기 및 부품의 25%가 일본산으로 부품 관세에 노출 37
Highlander미국65%미국일본일본 (20%)중간: Grand Highlander와 유사하게 일본산 부품 의존도로 인한 리스크 존재 37
Lexus TX 350미국65%미국미국일본 (20%)중간: 일본산 부품 비중이 20%로, 부품 관세 부과 시 수익성 악화 우려 37
Tundra미국60%미국미국일본 (15%)낮음-중간: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고 일본산 부품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타격이 덜할 수 있음 39

이 분석은 토요타의 리스크가 단순히 일본산 완성차 수입에 국한되지 않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미국 내에서 조립되는 베스트셀러 SUV 모델들조차 핵심 부품의 일본 의존도로 인해 관세의 영향권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는 토요타가 단순히 비용을 흡수하는 방식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우며, 근본적인 생산 및 부품 조달 구조의 재편이 불가피함을 시사한다.

2.3. Strategic Countermeasures: A Replay of the 1980s Playbook

토요타는 절체절명의 위기 앞에서 과거의 성공 경험에서 비롯된, 검증되었지만 고통스러운 대응 전략을 다시 꺼내 들고 있다. 이는 공급망의 현지화, 정치적 관여, 그리고 내부 비용 절감이라는 세 가지 축으로 요약된다.

  • 역사적 교훈: 1980년대 무역 마찰의 재현: 현재 상황은 1980년대 미일 무역 마찰의 데자뷔와 같다. 당시 미국은 막대한 대일 무역 적자를 문제 삼아 일본 자동차 산업을 압박했고, 일본은 결국 연간 168만 대로 수출 물량을 자체 규제하는 '자발적 수출 규제(Voluntary Export Restraints)'를 받아들여야 했다.3 이에 대한 토요타의 대응은 미국 현지 생산을 대대적으로 확대하는 것이었다. 1982년 혼다의 오하이오 공장을 시작으로, 토요타는 1984년 GM과의 합작으로 캘리포니아에 공장을 설립하는 등 미국 본토에 깊숙이 뿌리내리기 시작했다.3 이 전략은 정치적 마찰을 피하고 미국 시장에 안정적으로 접근하는 성공 공식이 되었으며, 현재 토요타가 다시 이 playbook을 펼쳐 드는 배경이 되고 있다.
  • 공급망 재편 및 현지화 가속: 토요타는 관세 위협에 대응하여 북미 생산망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주력 SUV 모델인 RAV4의 생산을 캐나다와 일본에서 미국 켄터키 공장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13, 하이브리드 차량의 핵심 부품인 트랜스액슬 생산을 늘리기 위해 웨스트버지니아 공장에 8,80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하는 등 구체적인 실행에 나서고 있다.43 이는 단순히 최종 조립 공정을 옮기는 것을 넘어, 핵심 부품 생산까지 미국 내에서 해결하려는 더 깊은 수준의 현지화 전략이다.
  • 가격 정책과 협력사와의 고통 분담: 토요타는 단기적인 관세 충격에 대해 "반사적인(knee-jerk)"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시장 점유율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34 그러나 이는 장기적으로 지속 불가능한 전략이며, 결국 막대한 비용 압박을 협력업체들과 분담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토요타는 협력사들과 개별적으로 신중하게 협의하겠다고 밝혔지만 34, 이는 수십 년간 유지해 온 상생 기반의 '케이레츠(系列)' 관계에 심각한 긴장을 유발할 수 있다.
  • 정치적 관여 및 로비 활동 강화: 토요타는 더 이상 조용한 거인으로 머물지 않고, 워싱턴 D.C.에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2021년 기준 미국의 로비 지출액을 620만 달러까지 늘렸으며, 이는 2010년 대비 41% 증가한 수치다.44 특히 토요타 공장이 위치한 웨스트버지니아의 조 맨친 상원의원과 같은 핵심 정치인들과의 관계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44 2025년 1분기 로비 지출액만 120만 달러를 상회하며, 관세뿐만 아니라 세금, 배출가스 규제, 반도체, 인공지능 등 광범위한 정책 이슈에 대해 전방위적인 영향력 행사를 시도하고 있다.45 이는 통상 정책이 경제 논리뿐만 아니라 정치적 역학에 의해 결정된다는 현실을 인정한 결과다.

2.4. The Unintended Consequence: Strengthening the Hybrid Fortress

역설적이게도, 토요타를 위협하는 관세 정책이 장기적으로는 토요타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를 더욱 강화하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 트럼프 행정부의 반(反) 전기차 기조: 트럼프 행정부는 전기차(EV) 보급을 위한 공격적인 보조금 정책과 강력한 배출가스 규제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35 이는 순수 전기차로의 전환을 서두르던 경쟁사들에게는 불리한 정책 환경을 조성한다.
  • 하이브리드 기술의 압도적 우위: 반면, 토요타는 오랫동안 하이브리드 기술에 집중 투자해 온 결과, 이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2024년 11월까지의 미국 판매량에서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전동화 차량이 전체의 40%를 차지했으며,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는 전년 대비 40%나 급증했다.35
  • 전략적 기회: 경쟁사들이 전기차 전환 속도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동안, 토요타의 '다중 경로(multi-pathway)' 전략은 빛을 발하고 있다. 전기차 인프라 부족과 높은 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하이브리드를 선택하면서, 토요타의 시장 지배력은 더욱 공고해질 수 있다. 관세라는 거대한 위협이 아이러니하게도 토요타가 가장 잘하는 분야인 하이브리드 시장에서의 '성채(fortress)'를 더욱 굳건히 쌓아 올리는 촉매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해 볼 때, 토요타는 관세로 인해 단기적으로 막대한 재무적 타격을 입고 고통스러운 구조조정을 강요받고 있지만, 과거의 위기 극복 DNA와 강력한 현지화 전략, 그리고 하이브리드라는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생존과 경쟁력 유지를 모색하고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일본 내 생산 기반의 축소라는 '상처'는 불가피해 보인다. 토요타의 최고 경영진이 미국으로의 생산 이전이 일본 내 연간 300만 대 생산 목표 달성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은 34 이러한 딜레마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를 넘어, 일본 제조업의 미래와 직결된 중대한 과제다.

Section 3: Panasonic Corporation: A Strategic Pivot to Tariff Resilience

파나소닉은 토요타와는 극명하게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과거 가전제품의 대명사였던 파나소닉은 수년에 걸친 과감한 사업 재편을 통해 트럼프 관세의 폭풍우 속에서 오히려 기회를 포착하는, 놀라운 회복탄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단순한 위기 대응을 넘어, 지정학적 변화의 흐름을 읽고 선제적으로 자사의 핵심 역량을 재정의한 성공적인 전략적 피벗(pivot)의 결과물이다.

3.1. The Great De-Risking: From Consumer Electronics to Industrial Solutions

파나소닉의 현재 강점은 과거의 실패에서 비롯되었다. 1990년대까지 세계 가전 시장을 호령했던 파나소닉은 2000년대 이후 한국 및 중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밀리며 TV와 같은 주력 사업에서 심각한 부진을 겪었다.47 2025년 현재 파나소닉의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은 1.0%에 불과하며, 회사는 수익성이 낮고 성장 가능성이 없는 사업의 철수 또는 축소를 공식화했다.47

이러한 고통스러운 구조조정 과정에서 파나소닉은 변동성이 크고 마진이 낮은 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안정적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B2B(기업-기업 간 거래) 및 산업 솔루션으로 체질을 개선했다. 특히, 전기차(EV) 배터리, 공장 자동화, 항공전자 시스템 등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전략적 전환은 결과적으로 파나소닉을 소비자들의 변덕스러운 구매 패턴이나 소매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편 관세의 위협으로부터 한 발짝 비켜서게 만들었다. 주요 고객이 일반 소비자가 아닌 테슬라와 같은 거대 기업이나 미국 정부 기관으로 바뀌면서, 파나소닉의 사업은 장기 계약과 기술적 파트너십에 기반한 안정적인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3.2. The U.S. Battery Bet: A Definitive Tariff Shield

파나소닉의 가장 성공적인 전략은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해외 시장 진출을 넘어, 미국의 산업 정책과 국가적 목표에 적극적으로 동참함으로써 강력한 '정치적 보호막'을 구축한 사례로 평가된다.

  • 미국 내 대규모 직접 투자: 파나소닉은 미국 본토에 천문학적인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 이미 2017년부터 테슬라와 함께 네바다주에서 연간 약 41GWh 규모의 기가팩토리를 운영해 온 데 이어 5, 캔자스주 드소토(De Soto)에 40억 달러(약 5조 5천억 원)를 투자하여 연간 32GWh 규모의 두 번째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건설했다.5 이 캔자스 공장 프로젝트는 파나소닉 역사상, 그리고 캔자스주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단일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최대 4,0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6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파나소닉을 단순한 일본 수입업체에서 '미국 제조업의 파트너'이자 '미국 일자리의 창출자'로 변모시켰다. 로라 켈리 캔자스 주지사는 파나소닉의 투자가 "캔자스에 밝은 새 시대를 열었다"고 극찬했으며, 제리 모런 연방 상원의원은 "캔자스의 재능 있는 노동력과 리더십의 증거"라고 평가했다.6 이는 파나소닉이 미국 연방 및 주 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정치적 지지 기반을 확보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기업을 관세의 표적으로 삼는 것은 정치적으로 상당한 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다.

다음 표는 파나소닉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생산 및 투자 현황을 요약한 것이다.

공장 위치 (주)투자액 ($)예상 연간 생산능력 (GWh)주요 고객사예상 고용 창출 (명)운영 현황
네바다 (Sparks)(테슬라와 공동 투자)약 41 GWh테슬라-2017년부터 운영 중 5
캔자스 (De Soto)40억약 32 GWh테슬라, 루시드, 도요타 등최대 4,0002025년 7월 양산 시작 48
오클라호마 (후보지)(미정)(미정)(미정)(미정)신설 계획 동결 49

이 표는 파나소닉이 북미 지역에서만 총 73GWh 이상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됨을 보여주며, 이는 미국 내 전기차 생산 확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다.5

3.3. Forging a North American "Mine-to-Battery" Ecosystem

파나소닉의 전략은 단순히 미국 내 조립 공장을 짓는 데 그치지 않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원자재 조달부터 재활용에 이르는 배터리 공급망 전체를 북미 지역 내에서 구축하려는 야심 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지정학적 리스크, 특히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적인 조치다.

  • 탈중국 공급망 구축: 파나소닉 에너지 북미 법인 대표인 앨런 스완은 "중국에 크게 의존하는 공급망을 피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고 명확히 밝혔다.4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 정책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이자,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기적인 전략이다.
  • 북미 내 원자재 확보 (Upstream):
    • 천연 흑연: 파나소닉은 캐나다 퀘벡에 위치한 흑연 생산업체 '누보 몽드 그래파이트(Nouveau Monde Graphite, NMG)'와 7년간의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2,500만 달러를 직접 투자했다.7 이를 통해 퀘벡의 광산에서 채굴한 흑연을 현지 공장에서 양극재로 가공하여 공급받는, USMCA 역내 '광산에서 배터리 소재까지(mine-to-battery-material)' 이어지는 수직 계열화 모델을 구축했다.7
    • 인조 흑연: 호주의 배터리 소재 기업 '노보닉스(NOVONIX)'와도 구속력 있는 구매 계약을 맺고, 2025년부터 4년간 1만 톤의 인조 흑연을 북미 공장에서 공급받기로 했다.51
  • 북미 내 재활용 시스템 구축 (Downstream): 파나소닉은 네바다 공장 인근에 위치한 배터리 재활용 전문 기업 '레드우드 머티리얼즈(Redwood Materials)'와 파트너십을 맺었다.52 이 파트너십을 통해 네바다 공장에서 발생하는 구리 스크랩과 같은 생산 폐기물을 레드우드가 수거하여 재활용한 뒤, 배터리 부품(구리 포일 등)으로 다시 만들어 파나소닉에 납품하는 완벽한 '폐쇄 루프(closed-loop)' 재활용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52 이는 운송 비용과 탄소 배출을 줄이는 동시에, 공급망의 역내 자급률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3.4. Stability in Diversified Portfolios: Connect and Avionics

파나소닉의 B2B 사업 포트폴리오는 관세 충격에 대한 추가적인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 파나소닉 커넥트 (Panasonic Connect): 이 사업부는 경찰, 소방, 군 등 공공 부문과 물류, 유틸리티 등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고내구성 노트북 '터프북(Toughbook)'과 공장 자동화 솔루션, 전문 영상 시스템 등을 공급한다. 특히 터프북은 미국 러기드(rugged) PC 시장에서 50% 이상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 해군, 육군, 공군 등 연방 정부 기관과 다수의 주정부 및 지방정부에 핵심 장비로 납품되고 있다.53 이러한 고객들은 가격 민감도가 낮고 제품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이는 파나소닉 커넥트 사업이 단기적인 관세 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견고한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파나소닉 항공전자 (Panasonic Avionics): 파나소닉은 전 세계 기내 엔터테인먼트 및 통신(IFEC) 시스템 시장의 선두주자로, 300개 이상의 항공사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57 이 사업의 특징은 항공기 도입 시점에 맞춰 장기적인 공급 및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한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의 대표 항공사인 유나이티드 항공(United Airlines)이 차세대 IFE 시스템인 '아스트로바(Astrova)'를 도입하기로 결정하며 파나소닉에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 것은 양사 간의 굳건한 파트너십을 보여준다.59 이처럼 항공사와의 깊은 통합과 장기 계약에 기반한 사업 모델은 관세와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한 강력한 방어막이 된다.

결론적으로 파나소닉은 ▲저마진 B2C 사업 축소 및 고부가가치 B2B 사업으로의 전환, ▲미국 내 대규모 배터리 공장 투자를 통한 '정치적 해자' 구축, ▲북미 중심의 원자재-생산-재활용 공급망 구축, ▲정부 및 항공사 등과의 장기 계약 기반 사업 모델이라는 다층적인 보호막을 통해 트럼프 관세 리스크를 성공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다만, 주력인 배터리 사업이 테슬라의 판매 실적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61, 전기차 시장 자체가 성장 둔화와 정책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는 점은 49 파나소닉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Section 4: Sony Group Corporation: The Complex Calculus of a Global Conglomerate

소니 그룹은 토요타의 직접적인 충격이나 파나소닉의 전략적 회피와는 또 다른, 매우 복잡하고 다층적인 방식으로 관세 정책에 영향을 받는다. 게임, 반도체, 전자제품, 영화, 음악 등 극도로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는 어떤 부문에서는 강력한 보호막을 제공하는 동시에, 다른 부문에서는 예상치 못한 취약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소니에 대한 관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사업부별로 리스크를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접근이 필수적이다.

4.1. Game & Network Services (G&NS): The PlayStation Paradox

소니의 가장 중요한 수익원인 게임 & 네트워크 서비스(G&NS) 사업부는 관세와 관련하여 역설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 현재로서는 안전하지만, 잠재적인 리스크가 상존하며, 그 영향은 경쟁 구도와 맞물려 복잡하게 전개된다.

  • 핵심 보호막: HTS 코드의 무관세 지위: 소니의 G&NS 사업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단일 사실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비디오 게임 콘솔의 관세 분류 현황이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의 통합관세율표(HTS)에 따르면, 플레이스테이션(PS)과 같은 비디오 게임 콘솔은 HTS 코드 9504.50.00으로 분류된다.8 현재 이 품목의 일반 실행 관세율은 **'무관세(Free)'**로 책정되어 있다.8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다른 품목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현재 법규상으로는 일본 기사라즈 공장 등에서 생산되어 66 미국으로 수출되는 PS5 본체에 직접적인 관세가 부과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 무관세 지위는 소니에게 엄청난 비용 우위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보호막이다.
  • 잠재적 리스크: '만약'의 시나리오: 소니의 리스크는 현재가 아닌 미래에 있다.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기존의 HTS 코드별 관세 체계를 무시하고 모든 수입품에 10%의 보편 관세나 일본에 대한 25%의 상호 관세를 예외 없이 적용할 경우, PS5는 관세의 직접적인 대상이 된다. 이 경우 소니는 25%의 비용 상승분을 내부적으로 흡수하여 막대한 이익 감소를 감수하거나, 소비자 가격을 인상하여 판매량 감소를 감수해야 하는 어려운 선택에 직면하게 된다.
  • 경쟁 구도와의 연동성: 이 리스크는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Xbox와의 관계 속에서 더욱 복잡해진다. Xbox 콘솔은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이미 미국의 고율 관세(대중국 관세)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MS는 미국 내 판매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었다.10 이는 현재 소니가 Xbox에 대해 상당한 가격 경쟁력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PS5에도 관세가 부과된다면, 이 가격 우위는 사라지고 두 콘솔은 동등한 관세 부담 하에 경쟁하게 된다. 이는 소니에게는 불리하고 MS에게는 유리한 구도 변화다. 반대로, 현재의 무관세 지위가 유지된다면 소니의 가격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 궁극적 헤지 수단: 디지털 서비스로의 전환: 소니의 궁극적인 방어 전략은 하드웨어 판매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하는 것이다.9 2025년 3월 기준 1억 2,400만 명에 달하는 월간 활성 이용자(MAU)를 기반으로 69, G&NS 부문 수익의 상당 부분은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를 통한 디지털 게임 판매와 '플레이스테이션 플러스' 구독 서비스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 및 서비스 매출은 물리적인 국경을 넘지 않기 때문에 수입 관세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실제로 소니는 관세와 무관한 구독 서비스 가격을 40~50% 인상하는 등, 서비스 부문의 수익성을 적극적으로 강화하고 있다.9 이 강력한 디지털 수익 기반은 하드웨어 판매의 변동성을 흡수하고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는 결정적인 완충 장치 역할을 한다.

다음 표는 관세 환경 하에서 플레이스테이션 5와 Xbox의 경쟁 구도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구분소니 플레이스테이션 5마이크로소프트 Xbox Series X/S
주요 조립 위치일본 66중국 68
현재 미국 관세 노출없음 (HTS 9504.50.00 무관세) 64높음 (대중국 관세 적용) 10
최근 가격 정책 (미국)유럽/호주 등에서 가격 인상, 미국은 유지 9관세 부담으로 미국 내 가격 대폭 인상 68
주력 비즈니스 모델하드웨어 보급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서비스 생태계 확장 9하드웨어 판매와 구독형 서비스(게임패스) 병행 9
핵심 리스크 완화 요인디지털 서비스 매출의 높은 비중, 현재의 무관세 지위관세 영향이 적은 클라우드 기반 게임패스 서비스

4.2. Imaging & Sensing Solutions (I&SS): The Indirect Threat to a Market Leader

소니의 또 다른 핵심 수익원이자 기술 리더십의 상징인 이미지센서 사업부(I&SS)는 직접적인 관세 대상은 아니지만, 가치사슬을 타고 올라오는 간접적인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 소니는 CMOS 이미지센서(CIS) 시장에서 40% 후반에서 5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가진 압도적인 1위 사업자다.70 특히 고화질, 고기능 센서 시장에서의 기술력은 독보적이며, 이는 I&SS 사업부의 높은 수익성으로 이어진다.
  • 다운스트림 리스크 (Downstream Risk): 소니의 이미지센서는 그 자체로 최종 소비재가 아니라, 다른 제품에 탑재되는 핵심 부품이다. 그리고 그 주요 수요처는 바로 관세의 직접적인 표적이 되는 스마트폰과 자동차다.11 미국이 수입 스마트폰과 자동차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면, 해당 완제품의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고 수요가 감소한다. 이는 결국 부품을 공급하는 소니의 이미지센서 주문량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즉, 소니는 직접 관세를 맞지 않더라도 고객사의 판매 부진이라는 형태로 간접적인 타격을 입게 된다.
  • 공급망 압박: 애플, 삼성전자, 그리고 전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관세로 인해 엄청난 원가 압박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이들은 이러한 압박을 공급망 전체로 전가하려 할 것이며, 핵심 부품 공급사인 소니에게 단가 인하를 요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I&SS 사업부의 높은 마진을 잠식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생산 기지의 집중: 소니의 이미지센서 생산은 대부분 일본 내 공장(나가사키, 구마모토 등)에 집중되어 있다.75 일부 후공정이나 차량용 센서 생산을 태국, 한국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72, 핵심 전공정(Fab)은 일본에 있다. 이는 만약 미국이 일본산 제품 전체에 보편/상호 관세를 부과할 경우, I&SS 사업부 전체가 관세 리스크에 직접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3. A Segmented Risk Profile: ET&S, Music, and Pictures

소니의 나머지 사업부들은 각기 다른 리스크 프로파일을 보여주며, 이는 그룹 전체의 다각화 효과를 잘 보여준다.

  • Entertainment, Technology & Services (ET&S): TV, 카메라, 오디오 기기 등을 포함하는 이 전통적인 전자 사업부는 G&NS 다음으로 직접적인 관세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소니는 이미 선제적인 조치를 통해 리스크를 상당 부분 완화했다. 미중 무역 분쟁이 격화되면서, 카메라 생산의 90%를 중국에서 태국으로 이전했다.78 물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태국산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36% 상호관세 거론 11), 가장 높은 관세율이 부과되는 중국 의존도를 낮췄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리스크 분산 조치다. 또한, 소니는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 동남아, 멕시코 등 전 세계에 생산 기지를 분산시켜 운영하고 있어 80, 특정 지역에 대한 관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유연성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
  • 음악(Music) 및 영화(Pictures): 이 두 콘텐츠 사업부는 소니의 가장 강력한 관세 보호막이다. 이들 사업의 수익은 물리적인 상품의 수출입이 아닌, 지적재산권(IP) 라이선싱, 스트리밍 로열티, 음반 및 음원 판매(디지털), 영화 배급 및 흥행 수입 등에서 발생한다.12 이러한 무형의 가치와 서비스는 수입 관세의 부과 대상이 아니다. 미국은 소니 그룹 전체 매출의 30%를 차지하는 가장 큰 시장인데 82, 이 중 상당 부분이 음악과 영화 사업에서 발생한다는 점은 소니의 전체적인 관세 노출도를 크게 낮춰준다.

다음 표는 소니의 주요 사업부별 매출 비중과 관세 노출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사업 부문2023 회계연도 매출 (십억 엔)전체 매출 비중주요 제품/서비스주요 생산/기원지미국 관세 노출도 및 근거
G&NS4,267.731%PS5 콘솔, 게임 소프트웨어, 구독 서비스일본(콘솔), 글로벌(소프트웨어/서비스)중간: 콘솔은 현재 무관세이나 정책 변경 시 리스크. 서비스는 비과세. 64
ET&S2,453.721%TV, 카메라, 오디오태국, 중국, 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분산높음: 물리적 제품으로 관세 대상. 생산기지 다변화로 일부 완화. 78
I&SS1,493.1 (추정)12%CMOS 이미지센서일본 (주력), 태국중간(간접): 완제품 수요 감소 및 고객사 단가 압력 리스크. 11
음악1,619.012%음반/음원, 음악 퍼블리싱글로벌 (IP 기반)매우 낮음: 지적재산권 및 디지털 서비스 기반으로 관세 비대상. 12
영화1,493.112%영화 제작/배급, 미디어 네트워크미국/글로벌 (IP 기반)매우 낮음: 지적재산권 및 흥행 수익 기반으로 관세 비대상. 12
금융1,695.212%생명보험, 은행 (주로 일본 내)일본매우 낮음: 금융 서비스로 관세 비대상. 82

주: 매출액 및 비중은 FactSet 및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기준.82

이처럼 소니의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는 관세라는 특정 리스크에 대해 자연스러운 헤지(hedge) 기능을 수행한다. 하드웨어 사업부가 겪는 어려움을 콘텐츠와 서비스 사업부의 안정적인 수익이 상쇄하는 구조다. 이는 수십 년에 걸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과 콘텐츠를 아우르는 복합 기업체를 구축해 온 소니의 장기 전략이 예기치 않은 지정학적 위기 속에서 강력한 방어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Section 5: Strategic Synthesis and Forward Outlook

파나소닉, 토요타, 소니의 사례는 트럼프 관세라는 동일한 외부 충격에 대해 기업의 역사, 사업 구조, 그리고 전략적 선택이 얼마나 다른 결과를 낳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살아있는 교과서'와 같다. 이들의 대응 방식을 비교하고, 새로운 무역 시대의 성공 요인을 도출하며, 장기적인 시사점을 전망하는 것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하는 모든 글로벌 기업에게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5.1. Comparative Strategies: A Tale of Three Companies

세 기업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위기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핵심 역량과 전략적 지향점을 반영한다.

  • 토요타 (The Incumbent - 현상 유지 및 점진적 대응): 토요타의 전략은 '반응적 현지화(Reactive Localization)'로 요약된다. 이미 구축된 거대한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는 그 자체로 자산이자 부채다. 너무 거대하고 복잡하기에 단기간에 재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3 따라서 토요타의 대응은 기존의 성공 방정식, 즉 1980년대 무역 마찰 당시 효과를 보았던 '미국 내 생산 확대'라는 역사적 플레이북을 다시 꺼내 드는 방식이다.3 이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어적이고 점진적인 전략이며, 막대한 로비 활동을 통해 정치적 해결을 모색하는 등 기존 질서 내에서의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현상 유지적(incumbent)' 성격이 강하다.44
  • 파나소닉 (The Futurist - 미래 지향적 선제 대응): 파나소닉의 전략은 '선제적 동조화(Proactive Alignment)'로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은 지정학적 변화의 흐름을 먼저 읽고,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것을 예측하여 미국의 국가적 아젠다(미국 내 제조업 부흥, 핵심 산업 공급망 구축)에 자사를 적극적으로 편입시켰다.4 미국 내 대규모 배터리 공장 투자는 단순한 시장 진출을 넘어, 미국 산업 정책의 핵심 파트너가 되겠다는 선언이었다.6 이는 관세를 회피하는 것을 넘어, 정책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기회(IRA 보조금 등)를 포착하려는 미래 지향적이고 공세적인 전략이다.
  • 소니 (The Diversifier - 포트폴리오 기반 위험 분산): 소니의 전략은 '포트폴리오 헤징(Portfolio Hedging)'이다. 소니는 특정 사업 부문의 리스크를 다른 사업 부문의 강점으로 상쇄하는 방식으로 그룹 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한다.82 하드웨어(ET&S, G&NS 콘솔)가 관세 위협에 노출되면,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G&NS 서비스)와 콘텐츠(음악, 영화)가 그 충격을 흡수한다.12 이는 특정 리스크에 '올인'하지 않고, 사업 다각화를 통해 자연스러운 위험 분산 효과를 누리는 정교한 재무적 전략에 가깝다.

5.2. Key Success Factors in the New Trade Era

세 기업의 사례는 새로운 보호무역주의 시대에 글로벌 기업이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성공 요인(Key Success Factors)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 공급망의 민첩성과 지역화 (Supply Chain Agility & Regionalization): 과거의 글로벌 공급망이 '비용 효율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았다면, 새로운 시대의 공급망은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핵심으로 삼아야 한다. 이는 단순히 저임금 국가를 찾아 생산 기지를 옮기는 오프쇼어링(offshoring)을 넘어, 주요 시장 블록(북미, 유럽, 아시아) 내에서 원자재 조달부터 생산, 판매, 재활용까지 가능한 지역 완결형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파나소닉의 북미 'Mine-to-Battery' 생태계 구축 노력은 이러한 변화의 가장 선진적인 사례다.7
  • 정치적 통찰력과 영향력 (Political Acumen & Influence): 무역 정책이 경제 논리가 아닌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시대에는, C-레벨 경영진이 외교관과 같은 정치적 통찰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자사의 사업이 진출국의 국가적 이익과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설득하고, 정교한 로비와 전략적 투자를 통해 '정치적 해자'를 구축하는 능력이 기업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다. 토요타와 파나소닉이 워싱턴 D.C.에서의 로비 활동과 현지 고용 창출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은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다.6
  • 비즈니스 모델의 다각화 (Business Model Diversification): 물리적 상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전통적인 제조업은 관세에 본질적으로 취약하다. 반면, 소니의 사례에서 보듯, 수익원을 관세 부과가 불가능한 서비스, 소프트웨어, 지적재산권 등으로 다각화한 기업은 외부 충격에 대한 강력한 완충 장치를 갖게 된다. 유형 자산(atoms)과 무형 자산(bits)의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5.3. The End of Hyper-Globalization? Long-Term Implications

트럼프 관세는 일시적인 무역 분쟁을 넘어, 지난 30년간 세계 경제를 지배해 온 '초세계화(Hyper-Globalization)' 시대의 종언을 고하는 신호탄일 수 있다. 이는 일본 다국적 기업들에게 다음과 같은 장기적인 구조 변화를 요구한다.

  • 효율성에서 안정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국경을 넘나들며 가장 효율적인 지점에서 부품을 조달하고 조립하여 비용을 최소화하던 모델은 이제 막대한 지정학적 리스크를 내포하게 되었다. 앞으로 기업들은 다소의 비효율을 감수하더라도 공급망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요 시장별로 중복적인 생산 허브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 일본 제조업 허브 역할의 약화: 과거 일본은 고품질, 고기술 제품을 생산하여 전 세계로 수출하는 핵심적인 제조업 허브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주요 시장인 미국이 자국 내 생산을 강력하게 요구함에 따라, 토요타와 같은 기업들은 일본 내 생산을 줄이고 해외 생산을 늘릴 수밖에 없는 압력에 직면했다.35 이는 장기적으로 일본 내 산업 공동화(hollowing out)를 심화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85
  • '일본 기업'의 정체성 변화: 글로벌 생산 및 판매가 심화되면서 '일본 기업'의 정체성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들은 더 이상 일본에 본사를 둔 수출 기업이 아니라, 각 지역 시장에 깊이 뿌리내린 '다국적 현지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자본 배분, R&D 투자, 인력 구성 등이 점차 글로벌 및 지역 단위로 최적화되면서, 본국과의 연결고리는 점차 약화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관세는 일본의 3대 기업에게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심대한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 위기는 동시에 기업들이 기존의 관성에서 벗어나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과 공급망 전략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새로운 지정학적 현실에 맞는 경쟁력을 구축할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들의 성공적인 적응 여부는 향후 10년간 글로벌 산업 지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Conclusion

본 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25% 관세 정책이 파나소닉, 토요타, 소니라는 일본의 세 대표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이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명확하다. 이번 관세 정책은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니라, 세계화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구조적 변화이며, 이에 대한 기업의 대응 능력에 따라 그 명운이 갈릴 것이라는 점이다.

토요타는 관세의 직격탄을 맞으며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구조조정의 시기에 돌입했다. '판매하는 곳에서 생산한다'는 오랜 전략에도 불구하고, 복잡하게 얽힌 글로벌 부품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여 북미 공급망을 재편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는 과거 1980년대의 위기를 극복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정공법이지만, 일본 내 생산 기반의 약화라는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딜레마를 내포한다.

파나소닉은 가장 성공적인 대응 사례를 보여준다. 과감한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저마진 소비자 가전에서 벗어나, 미국의 전략 산업인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미국 내 대규모 투자는 파나소닉을 보호무역주의의 표적이 아닌, 그 정책의 수혜자로 만들었다. 이는 지정학적 리스크를 비즈니스 기회로 전환한 탁월한 전략적 선견지명의 결과다.

소니는 다각화된 사업 구조를 통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있다. 물리적 상품의 수출입에 의존하는 하드웨어 사업의 리스크를 관세의 영향에서 자유로운 콘텐츠 및 서비스 사업의 안정적인 수익으로 상쇄하는 모델은, 새로운 시대에 기업이 갖추어야 할 회복탄력성의 전형을 보여준다. 특히, 비디오 게임 콘솔의 무관세 지위는 현재로서는 결정적인 보호막이지만, 이 지위가 흔들릴 경우의 경쟁 구도 변화는 여전히 주시해야 할 변수다.

궁극적으로, 이 세 기업의 사례는 21세기 글로벌 기업의 경영진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제 경영진은 단순히 효율적인 생산과 판매를 관리하는 운영 전문가를 넘어, 복잡한 국제 정세와 무역 정책의 흐름을 읽고 자사의 전략을 지정학적 맥락에 맞춰 조정할 수 있는 '외교관'과 같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운영, 재무, 그리고 정치적 리스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이것이 바로 무역이 더 이상 순수한 경제의 영역이 아닌 시대에 기업의 생존을 결정짓는 핵심 역량이 될 것이다.

引用文献

  1.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과 일본의 대응,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iep.go.kr/galleryDownload.es?bid=0004&list_no=11812&seq=1
  2. The change in outlook to stable from positive reflects our view that the company will face various macroeconomic risks and a potential reduction in its liquidity from the recently announced tender offer to delist Toyota Industries - Moody's Rating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ratings.moodys.com/ratings-news/444389
  3. [만파식적] 다중위기 일본 자동차 - 서울경제,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T4BSVJ5
  4. 테슬라 공급업체 파나소닉 에너지, 미국 배터리 공급에 대한 중국 ...,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kr.benzinga.com/news/usa/stocks/%ED%85%8C%EC%8A%AC%EB%9D%BC-%EA%B3%B5%EA%B8%89%EC%97%85%EC%B2%B4-%ED%8C%8C%EB%82%98%EC%86%8C%EB%8B%89-%EC%97%90%EB%84%88%EC%A7%80-%EB%AF%B8%EA%B5%AD-%EB%B0%B0%ED%84%B0%EB%A6%AC-%EA%B3%B5%EA%B8%89/
  5. Panasonic Energy Begins Mass Production at New Automotive Lithium-ion Battery Factory in Kansas, Aiming for Annual Capacity of 32 GWh to Accelerate U.S. Local Production,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na.panasonic.com/news/panasonic-energy-begins-mass-production-at-new-automotive-lithium-ion-battery-factory-in-kansas-aiming-for-annual-capacity-of-32-gwh-to-accelerate-us-local-production
  6. Governor Kelly Celebrates Grand Opening of Panasonic EV Battery Manufacturing Facility in De Soto - Press Releases | Kansas Office of the Governor,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governor.ks.gov/Home/Components/News/News/716/56
  7. Panasonic Energy to Invest in NMG and Purchase Graphite in Multi-year Deal to Boost EV Battery Supply Chain in North America,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na.panasonic.com/news/panasonic-energy-to-invest-in-nmg-and-purchase-graphite-in-multi-year-deal-to-boost-ev-battery-supply-chain-in-north-america
  8. HS Code 950450 - Tariff Classification of - Video game consoles and machines, other than those of subheading 9504.30, and parts and accessories thereof - Flexport,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flexport.com/data/hs-code/950450-video-game-consoles-and-machines-other-than-those-of-subheading-950430-and-parts-and-accessories-thereof/
  9. 트럼프 관세 위기 맞은 콘솔시장 - IT조선 - 조선일보,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38715
  10. '부메랑'된 트럼프 관세, 게임기도 직격탄 - 아시아경제,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cm.asiae.co.kr/article/2025050217063197092
  11. 美 트럼프 관세폭탄에 IT 업계 '먹구름'…반도체·가전·폰 악영향 - 지디넷코리아,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zdnet.co.kr/view/?no=20250403080051
  12. 다시는 소니그룹을 삼성전자와 비교하지 마라 - 삼프로TV,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apps.3protv.com/news/view/3396
  13.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응하는 일본 완성차 메이커들의 대응 전략,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dream.kotra.or.kr/user/extra/kotranews/bbs/linkView/jsp/Page.do?dataIdx=229697
  14. 美, 관세전쟁을 선포하다: 궁금증 10문 10답 - PwC,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pwc.com/kr/ko/insights/issue-brief/samilpwc_trump-10q10a.pdf
  15. 트럼프 "한국에 8월부터 25% 관세"...사실상 유예 연장 / YTN - YouTub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youtube.com/watch?v=CRwXwT1oX_E
  16. Japan stands its ground after Trump letter delivers 25% U.S. tariff shock - The Japan Time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japantimes.co.jp/business/2025/07/08/economy/japan-stands-ground-us-tariff/
  17.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과 일본의 대응 | KIEP 세계경제 포커스 | 현안자료,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2030000&bid=0004&list_no=11812&act=view
  18. 트럼프 2기 초반 관세전쟁에 대한 멕시코 셰인바움 정부의 대응 전략 및 함의,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ifans.go.kr/knda/com/fileupload/FileDownloadView.do;jsessionid=PkLDVs8GjyJntR+XzHGihDzR.public21?storgeId=c61b04e5-0182-4c75-ad21-828ecacfb855&uploadId=18216037289137343&fileSn=1
  19. Samsung and LG face setback as US expands steel tariff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chosun.com/english/industry-en/2025/06/13/MGBSXTTFTFD3ZKVKK7QNNY3D6U/
  20. US steel tariffs on home appliances spark concerns for Samsung, LG - The Korea Herald,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oreaherald.com/article/10508899
  21. Trump's steel tariffs to affect US production for Samsung, LG - The Korea Time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oreatimes.co.kr/business/companies/20250605/trumps-steel-tariffs-to-affect-us-production-for-samsung-lg
  22. Takahide Kiuchi's View - Insight Into World Economic Trends: The Trump Tariffs, and Prospects for the U.S.-Japan Tariff Talks - Nomura Research Institute (NRI),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nri.com/en/media/journal/kiuchi/20250509.html
  23. 트럼프 2기 첫 주요 행정조치 및 정책 혼란 극복 단기 가이드 - 한국무역협회,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kita.net/researchTrade/report/issueBrief/downloadIssueBriefFile.do;JSESSIONID_KITA=0FE0D7E6086C4DF630C0584E881EAB1C.Hyper?no=7870001F7E89129BE47F481A1EA73902&fileSeq=B0721B9F23054DDC7FE56C2811A12715
  24.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과 일본의 대응 | 전체보고서 | 보고서 ...,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1010000&bid=0004&act=view&list_no=11812
  25. Working Paper 25-13: The global economic effects of Trump's 2025 tariff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piie.com/sites/default/files/2025-06/wp25-13.pdf
  26. The global economic effects of Trump's 2025 tariffs | PII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piie.com/publications/working-papers/2025/global-economic-effects-trumps-2025-tariffs
  27. Where We Stand: The Fiscal, Economic, and Distributional Effects of All U.S. Tariffs Enacted in 2025 Through April 2 - Yale Budget Lab,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budgetlab.yale.edu/research/where-we-stand-fiscal-economic-and-distributional-effects-all-us-tariffs-enacted-2025-through-april
  28. [일본]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일본 정부 대응과 시장 반응 - KATI 농식품수출정보,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m.kati.net/board/exportNewsView.do?board_seq=102606&menu_dept2=35&menu_dept3=71
  29. Vol.193 일본, 트럼프발 관세정책 대비🛡️··'긴급대응 패키지' 발표 - YouTub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youtube.com/watch?v=JFG58B12aCM
  30. Most-Favored-Nations (MFN) Clause: Treating Trading Partners Equally - Investopedia,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investopedia.com/terms/m/mostfavorednation.asp
  31. Understanding import tariffs under WTO law | Epthinktank | European Parliament,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epthinktank.eu/2025/03/21/understanding-import-tariffs-under-wto-law/
  32. How Trump's tariff threats could impact relationship between U.S. and Asian allies - PB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pbs.org/newshour/show/how-trumps-tariff-threats-could-impact-relationship-between-u-s-and-asian-allies
  33. Trump Tariffs Likely Pushing Asia Elsewhere for Economic Partners - CSI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csis.org/analysis/trump-tariffs-likely-pushing-asia-elsewhere-economic-partners
  34. Refusing to Panic in the Face of U.S. Tariffs, Toyota Remains Committed to Domestic Production,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toyotatimes.jp/en/toyota_news/financial_results_2025/007.html
  35. 토요타, 트럼프發 관세폭탄에 생산계획 '흔들' - 글로벌이코노믹,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1/202501040711585760fbbec65dfb_1
  36. 토요타, 1월 글로벌 생산량 연간 기준 6% 증가… 약 78만 대 - 이코노믹리뷰,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85377
  37. MY2025 AALA By Percent Content Honda Motor Co., Ltd ... - NHTSA,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nhtsa.gov/sites/nhtsa.gov/files/2025-04/MY2025-AALA-Percentage%204_7_2025.pdf
  38. Whose Part Is It?—Measuring Domestic Content of Vehicles -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chicagofed.org/publications/chicago-fed-letter/2007/october-243
  39. Tesla, Honda dominate most American-made cars list - The Car Connection,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thecarconnection.com/news/1139994_tesla-honda-dominate-most-american-made-cars-list
  40. 미국-일본 무역 갈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A%B5%AD-%EC%9D%BC%EB%B3%B8_%EB%AC%B4%EC%97%AD_%EA%B0%88%EB%93%B1
  41. 40년간 되풀이되는 미·일 자동차 통상 마찰, 이번엔? - 연합뉴스,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yna.co.kr/view/AKR20170125071000009
  42. 미국/일본 자동차 무역마찰 정리(1980년대) - 메일리,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maily.so/jeonggyu/posts/xyowl0j0r28
  43. Toyota to invest $88M in West Virginia plant amid U.S. tariff pressure - CBT New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cbtnews.com/toyota-to-invest-88m-in-west-virginia-plant-amid-u-s-tariff-pressure/
  44. Toyota's lobbying blitz gets results in U.S. Senate deal - The Japan Time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japantimes.co.jp/news/2022/07/29/business/corporate-business/us-lobbying-toyota/
  45. $1235360 of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TMA) lobbying was just disclosed,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nasdaq.com/articles/lobbying-update-1235360-toyota-motor-north-america-inc-tma-lobbying-was-just-disclosed
  46. Lobbying Update: $1,235,360 of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TMA) lobbying was just disclosed - Quiver Quantitativ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quiverquant.com/news/Lobbying+Update%3A+%241%2C235%2C360+of+TOYOTA+MOTOR+NORTH+AMERICA+INC+%28TMA%29+lobbying+was+just+disclosed
  47. 안방도 중국에 뺏겨… 세계 호령했던 일본 TV의 몰락 - 조선일보,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5/02/06/BF4IOJUKTBBQXIQNMUQ5AR56PY/
  48. 日 파나소닉, 美 두 번째 공장 가동…현지 CAPA 73GWh - 지디넷코리아,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zdnet.co.kr/view/?no=20250715085437
  49. 日 파나소닉, 美 캔자스주 배터리 공장 생산계획 재검토 - 미주중앙일보 The Korea Daily,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oreadaily.com/article/20250710233320700
  50. Panasonic just opened a $4 billion plant in Kansas. But it's a tough time for the EV market,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cur.org/news/2025-07-14/panasonic-de-soto-kansas-ev-plant-tesla-tariffs
  51. Panasonic Energy Partners with NOVONIX for Sustainable Synthetic Graphite Supply in EV Battery Production,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na.panasonic.com/news/panasonic-energy-partners-with-novonix-for-sustainable-synthetic-graphite-supply-in-ev-battery-production
  52. Local, clean and circular supply chains: Panasonic advances EV battery tech | Trelli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trellis.net/article/local-clean-and-circular-supply-chains-panasonic-advances-ev-battery-tech/
  53. Form 10-K - SEC.gov,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sec.gov/Archives/edgar/data/866830/000119312510071575/d10k.htm
  54. Federal Government Contracts - Panasonic Connect,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connect.na.panasonic.com/government-contracts/federal
  55. Government Contracts | Panasonic North America - United State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connect.na.panasonic.com/government-contracts
  56. Alameda County Sheriff | Panasonic North America - United State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na.panasonic.com/us/case-study/alameda-county-sheriff
  57.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Company Overview, Contact Details & Competitor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leadiq.com/c/panasonic-avionics-corporation/5a1d8a22240000240063719a
  58. Panasonic Avionics Solutions - The Industry Leader,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news.panasonic.com/global/stories/774
  59. PANASONIC AVIONICS AND UNITED AIRLINES SIGN DEAL TO INSTALL THE TRANSFORMATIVE ASTROVA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ON NEW LONG-HAUL INTERNATIONAL AIRCRAFT - PR Newswir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panasonic-avionics-and-united-airlines-sign-deal-to-install-the-transformative-astrova-in-flight-entertainment-system-on-new-long-haul-international-aircraft-301843422.html
  60. United Airlines and Panasonic Avionics sign deal at Aircraft Interiors Expo - AviTrader,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avitrader.com/2023/06/07/united-airlines-and-panasonic-avionics-sign-deal-at-aircraft-interiors-expo/
  61. 파나소닉, 미국 캔자스주 전기차 배터리 공장 가동 - 글로벌모빌리티,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globalmotors.co.kr/view.php?ud=20250715150548987843a4b3e13b_5
  62. 파나소닉, 美 캔자스 배터리 공장 풀가동 연기…“테슬라 부진 여파” - IT조선,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43998
  63. 파나소닉 홀딩스 (6752 JP) - 삼성증권,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samsungpop.com/common.do?cmd=down&contentType=application/pdf&inlineYn=Y&saveKey=research.pdf&fileName=3010/2024080612354001K_02_08.pdf
  64. 9504.50.00.00 - Harmonized Tariff Schedul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hts.usitc.gov/search?query=9504.50.00.00
  65. HS Code for game console - FreightAmigo,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freightamigo.com/blog/hs-code-for-game-console/
  66. [진격의 플스] ①"소니 공장의 로봇은 사람같다"…'플스' 전자동 생산기지 공개 | 아주경제,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ajunews.com/view/20200708160716206
  67. 소니 13개공장 연합체로 독립..연매출 1조5천억엔 종업원 1만2천명 - 모바일한경,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00110283341&category=&sns=y
  68. 게임도 관세 유탄?…엑스박스 등 줄줄이 가격 인상 - 미주중앙일보,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oreadaily.com/article/20250501233542438
  69. Business Segment Presentation (G&NS) - Sony,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sony.com/en/SonyInfo/IR/library/presen/business_segment_meeting/pdf/2025/GNS_E.pdf
  70. Sony is Set to Capture 50% of the CMOS Image Sensor Market,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edge-ai-vision.com/2024/07/sony-is-set-to-capture-50-of-the-cmos-image-sensor-market/
  71. CMOS Image Sensors: Sony is Still Leading the Market - Edge AI and Vision Allianc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edge-ai-vision.com/2023/07/cmos-image-sensors-sony-is-still-leading-the-market/
  72. 이미지센서 1위 소니, 한국서 후공정 추진…삼성 타깃, 韓 협력사 선정 착수 - 전자신문,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m.etnews.com/20240308000193?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73. 소니, 태국에 이미지센서 공장 증설...왜? - YouTub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youtube.com/watch?v=rvS9R6j4swg
  74. 미국 관세 정책이 AI 산업에 미치는 영향: 반도체 가격 50%까지 상승 전망,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aimatters.co.kr/news-report/ai-economy-health/20547/
  75. 제조 발자국을 줄이다 | Sony Korea - 소니코리아,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sony.co.kr/electronics/reducing-our-manufacturing-footprint
  76. 소니 "새로운 이미지센서 팹 건설한다" - 지디넷코리아,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zdnet.co.kr/view/?no=20230626091027
  77. 소니, 구마모토에 이미지센서 신 공장 검토 - 테크데일리(TechDaily),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tech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22
  78. www.choicestock.co.kr,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choicestock.co.kr/search/news_view/SONY/16577#:~:text=%EC%86%8C%EB%8B%88%EB%8A%94%20%ED%98%84%EC%9E%AC%2090%25%EC%9D%98,%EC%A0%9C%ED%92%88%EB%A7%8C%20%EC%83%9D%EC%82%B0%ED%95%A0%20%EA%B2%83%EC%9D%B4%EB%9D%BC%EA%B3%A0%20%EB%B0%9D%ED%98%94%EB%8B%A4.
  79. 日 소니, 카메라 공장 90% 태국 이전…중국시장 철수없다 | 뉴스 - 초이스스탁US,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choicestock.co.kr/search/news_view/SONY/16577
  80. 제품원산지는 일본이외의 국가도 많습니다. | Sony KR - 소니코리아,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sony.co.kr/electronics/support/articles/S500081791
  81. 실적 발표 소니 그룹 코퍼레이션, 2023 회계연도 실적 발표 By Investing.com - 인베스팅,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93CH-1073679
  82. Sony Group(6758.JP),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bondweb.co.kr/_research/downloadPage.asp?number=754204&gn=1
  83. 소니/사업분야 - 나무위키,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namu.wiki/w/%EC%86%8C%EB%8B%88/%EC%82%AC%EC%97%85%EB%B6%84%EC%95%BC
  84. Putting “Reshoring” into Perspective - nippon.com,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nippon.com/en/behind/l00100/
  85. Japan's Manufacturing Employment Falling below 10 Million: A lesson from the U.S. reshoring experience, 7月 1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rieti.go.jp/en/papers/contribution/hamaguchi/02.html
No comments to sh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