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중 소음 노출이 청각 및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 분석 보고서: TV를 켜고 자는 습관을 중심으로
서론: 잠들지 않는 귀 - 수면 중 청각 인식의 신경과학
일반적으로 수면은 모든 감각이 차단되는 완전한 휴식 상태라고 여겨지지만, 이는 과학적 사실과 거리가 멀다. 특히 청각 시스템은 우리가 잠든 동안에도 24시간 내내 경계 태세를 늦추지 않는 감각 기관이다.1 눈꺼풀을 닫아 시각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것과 달리, 귀는 외부 소리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처리한다. 이는 포식자의 접근이나 아기의 울음소리 같은 잠재적 위험 신호를 감지하여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진화한 원초적인 방어 기제이다.2
과거에는 뇌가 수면 중에 대부분의 소리를 단순히 '무시'한다고 생각했지만, 최근 연구는 이 과정이 훨씬 더 정교하고 능동적인 신경 활동임을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은 동물이 잠자는 동안 소리에 반응하는 새로운 신경회로의 실체를 규명함으로써 이 분야의 이해를 획기적으로 증진시켰다.2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깨어 있을 때는 '청각 시상핵(Medial Geniculate Thalamus)'이 소리 정보를 처리하는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깊은 잠, 즉 비렘수면(Non-REM) 상태에 빠지면 이 청각 시상핵의 신경세포들도 활동을 멈추고 '잠을 잔다'.2 바로 이 순간, 뇌는 대체 경로를 활성화한다. 소리 신호는 뇌간을 통해 '배내측 시상핵(Mediodorsal Thalamus)'이라는 다른 뇌 영역으로 전달된다.2 연구진은 이 배내측 시상핵 내에서도 특히 'GRICK4'라는 유전자를 가진 특정 신경세포들이 소리에 반응하여 뇌를 각성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
이러한 이중 경로 시스템의 발견은 수면 중 소음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는 뇌가 수면 상태에서 소리를 단순히 무시하거나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전용 신경망을 통해 적극적으로 감시하고 처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TV 소리, 도로 소음, 냉장고의 미세한 작동음 등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모든 소리는 잠자는 뇌에 의해 끊임없이 분석되고 있으며, 이는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고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할 잠재력을 지닌다. 따라서 수면 중 소음의 문제는 단순히 청각 기관의 손상 가능성을 넘어, 만성적인 신경 자극과 그로 인한 전신 건강의 문제로 확장하여 접근해야 한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최신 신경과학적 발견을 토대로, TV를 켜고 자는 습관이 청력 손실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수면의 질, 스트레스 반응, 심혈관계 및 기타 청각 질환에 미치는 광범위하고 심각한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제1부: 소음성 난청의 위협 - 소리가 청력을 파괴하는 과정
1.1. 소음성 난청(NIHL)의 기전: 연약한 내이(內耳) 구조
소음성 난청(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리가 처리되는 과정을 먼저 알아야 한다. 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 귓바퀴를 통해 외이도로 들어와 고막을 진동시킨다. 이 진동은 중이에 있는 세 개의 작은 뼈(이소골)를 거치며 증폭된 후, 내이에 위치한 달팽이관(와우)으로 전달된다.1
달팽이관 내부에는 청각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모세포(hair cells)가 존재한다. 이 섬세한 유모세포들은 기계적인 진동 에너지를 뇌가 해석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감각 수용체이다.4 문제는 이 유모세포가 매우 연약하고 한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과도하게 큰 소음은 강력한 음압(acoustic energy)을 발생시켜 유모세포를 물리적으로 손상시키거나 파괴한다.4 손상된 유모세포는 더 이상 소리 신호를 뇌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며, 이것이 바로 영구적인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이어진다.
소음 노출 초기에는 '일시적 역치 이동(Temporary Threshold Shift)'이라 불리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귀가 멍멍해지고 일시적으로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이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청력이 회복될 수 있지만, 이러한 일시적인 손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결국 '영구적 역치 이동(Permanent Threshold Shift)', 즉 영구적인 난청으로 고착된다.5
1.2. 소음 노출의 법칙: 강도(dB)와 지속 시간
소음성 난청의 발생 위험은 '소리의 강도(intensity)'와 '노출 시간(duration)'이라는 두 가지 핵심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5 이는 일종의 '선량-반응 관계(dose-response relationship)'로, 소리가 클수록, 그리고 노출 시간이 길수록 청력 손상 위험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 등 전 세계 산업 보건 기관들은 근로자의 청력 보호를 위해 소음 노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가장 널리 통용되는 기준은 하루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소음 강도를 $85 \text{ dB(A)}$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다.4
여기서 중요한 것은 '3dB 교환 법칙(3-dB exchange rate)'이다. 이는 소음 강도가 $3 \text{ dB}$ 증가할 때마다 안전하게 노출될 수 있는 허용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원칙이다. 예를 들어, $85 \text{ dB}$에서는 8시간 노출이 허용되지만, $90 \text{ dB}$에서는 2시간, $100 \text{ dB}$에서는 15분, $115 \text{ dB}$에서는 1분 미만으로 허용 시간이 급격히 감소한다.5 일상적인 환경 소음의 경우, 청력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수준은 일반적으로
$75 \text{ dB}$ 미만으로 간주된다.9
$130 \text{ dB}$를 넘어서는 소리는 단 한 번의 노출로도 즉각적인 통증과 영구적인 청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5
표 1: 소음 강도(dB) 수준, 허용 노출 시간 및 관련 건강 위험
이러한 데시벨 수치를 일상생활과 연관 지어 이해하는 것은 자신의 청각 환경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다음 표는 다양한 소음 수준과 그에 따른 건강 위험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데시벨 수준 (dB) | 일반적인 예시 5 | 허용 노출 기준 (WHO/NIOSH) 5 | 잠재적 건강 영향 17 |
---|
$30 \text{ dB}$ | 속삭임, 조용한 방, 벽시계 소리 | 안전 | 쾌적한 수준 |
$40 \text{ dB}$ | 도서관, 조용한 주택가, 냉장고 소리 | 안전 | $40 \text{ dB}$ 이상부터 수면 방해 시작 가능성 |
$60 \text{ dB}$ | 일상적인 대화, 사무실 소음, 재봉틀 소리 | 안전 | $60 \text{ dB}$ 이상부터 수면 장애 시작 |
$70 \text{ dB}$ | 진공청소기, 시내 도로 소음, 전화벨 소리 | 일반적으로 안전 | 말초혈관 수축, 장시간 노출 시 스트레스 증가 |
$85 \text{ dB}$ | 시끄러운 교차로, 지하철 내부, 트럭 소리 | 8시간 이상 노출 시 청력 손상 위험 | 청력 손상 위험 시작, 심혈관계 부담 증가 |
$90 \text{ dB}$ | 잔디 깎는 기계, 공사장 소음, 개인 휴대용 음향기기 | 2시간 이상 노출 시 청력 손상 위험 | 청력 손상 위험 높음 |
$100 \text{ dB}$ | 체인톱, 록 콘서트, 노래방, 기차 소리 | 15분 이상 노출 시 청력 손상 위험 | 심각한 청력 손상 위험 |
$120 \text{ dB}$ | 구급차 사이렌, 천둥소리, 나이트클럽 | 즉각적인 위험 | 통증 유발 가능, 단기 노출로도 손상 가능 |
$140 \text{ dB}$ | 총성, 제트 엔진 이륙 소리 | 즉각적인 손상 | 즉각적인 통증과 영구적 청력 손상 |
1.3. 저강도 장시간 소음의 잠재적 위험
$85 \text{ dB}$라는 기준은 주로 산업 현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것으로, 8시간의 수면 시간 동안 매일같이 노출되는 만성적인 저강도 소음의 위험을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못한다. 최근 연구와 법적 판례들은 '안전한' 소음 수준이라는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사례로, 작업장에서 $75.7 \text{ dB}$에서 $80.1 \text{ dB}$ 사이의 소음에 장기간 노출된 근로자가 소음성 난청으로 산업재해를 인정받은 판결이 있다.20 이는 법원이
$85 \text{ dB}$라는 절대적인 기준치뿐만 아니라, 소음 노출의 '기간' 역시 난청 발생의 중요한 원인으로 인정한 것이다. 이러한 판결은 비록 강도가 낮더라도 수십 년에 걸친 만성적인 노출이 청력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과학적 연구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75 \text{ dB}$에서 $80 \text{ dBA}$ 수준의 소음에 24시간 노출되었을 때에도 청각적으로 가장 민감한 $4000 \text{ Hz}$ 주파수 대역에서 일시적인 청력 손실이 관찰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21 이는 TV를 켜고 자는 것과 같이 8시간 이상 지속되는 만성적인 소음 노출이, 비록 그 강도가
$85 \text{ dB}$에 미치지 않더라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누적 손상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9 따라서 안전 기준치 이하의 소음이라도 장기간 반복되면 영구적인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제2부: 텔레비전 - 안락한 친구인가, 소리 없는 위협인가?
2.1. 텔레비전 환경의 음향 프로필
TV를 켜고 자는 습관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먼저 TV가 만들어내는 소음 환경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TV 소음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TV 자체의 작동음과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오디오 출력이다.
- 작동음 (Operational Noise): 최신 TV는 전원이 켜지면 내부의 전자 부품들이 작동하면서 미세한 고주파음이나 '웅'하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TV 제조사들은 이 소음을 엄격하게 관리하며, 일반적으로 무향실 기준 $30 \text{ dB}$, 일반 가정 환경 기준 $50 \text{ dB}$ 이하로 제어한다.22 조용한 방의 배경 소음이 보통
$30 \text{ dB}$에서 $40 \text{ dB}$ 사이인 것을 감안하면 15, TV 자체의 작동음이 청력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 오디오 출력 (Audio Output): 실질적인 문제는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다. 많은 사람들이 TV 시청 시 음량을 일상적인 대화 수준인 $60 \text{ dB}$ 정도로 맞추어 놓는다.5 하지만 TV 방송의 오디오는 매우 역동적이다. 잔잔한 대화 장면과 폭발음이 가득한 액션 장면, 그리고 갑자기 커지는 광고 소리 사이에는 상당한 음량 차이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TV 제조사들은 채널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음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24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면 중 갑작스러운 큰 소리에 노출될 수 있다. 일반적인 TV 시청 환경의 소음은 진공청소기 소리에 해당하는
$70 \text{ dB}$를 쉽게 넘을 수 있으며, 특히 영화를 보거나 기존에 청력 손실이 있는 사람이 볼륨을 높일 경우 그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12
2.2. 위험성 평가: TV를 켜고 자면 청력이 손실될까?
이제 핵심 질문에 답해 보자. TV를 켜고 자는 습관이 소음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을까? 답은 소리의 크기와 노출 기간에 따라 달라지며, 직접적인 청력 손실 위험보다 다른 건강상의 위험이 훨씬 더 크다는 점을 먼저 인지해야 한다.
- 직접적/급성 소음성 난청 위험: TV 볼륨을 일상 대화 수준인 $60 \text{ dB}$에서 $65 \text{ dB}$ 사이로 유지한다면, 이로 인해 급성 소음성 난청이 발생할 위험은 거의 없다. 이 수준은 청력 손상 위험이 시작되는 $75 \text{ dB}$나 $85 \text{ dB}$ 기준에 한참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9
- 누적/만성 소음성 난청 위험: 더 현실적인 우려는 만성적인 노출로 인한 누적 손상이다. 만약 TV 볼륨을 지속적으로 $70 \text{ dB}$ 이상으로 설정하고 매일 밤 8시간씩 수년간 잠을 잔다면, 이는 위험의 '회색 지대'로 들어선다. 비록 산업안전 기준인 $85 \text{ dB}$보다는 낮지만, 환경 소음 권고 기준인 $75 \text{ dB}$에 근접하며, 앞서 논의된 저강도 장시간 노출의 위험 조건에 부합하게 된다.9
- 난청 환자의 악순환: 이미 청력 손실이 있는 사람들은 대사를 잘 알아듣기 위해 TV 볼륨을 더 크게 높이는 경향이 있다.12 이는 '더 큰 소리'라는 해결책이 '추가적인 청력 손상'이라는 문제를 악화시키는 비극적인 악순환을 만든다.
결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TV 볼륨을 매우 낮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잔다면 직접적인 청력 손실을 겪을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이는 결코 '위험이 없는(zero-risk)' 행위가 아니다. 높은 볼륨이나 급격한 소리 변화에 수년간 노출되는 것은 분명 정량화하기 어려운 누적 손상의 위험을 내포한다.
그러나 여기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적인 사실이 있다. 사용자가 우려하는 청력 손실의 가능성은 사실상 더 크고 즉각적인 위험으로부터 주의를 분산시키는 '붉은 청어(red herring)'에 가깝다. TV를 켜고 자는 행위의 가장 심각한 해악은 청각 손상이 아니라, 훨씬 낮은 소음 수준에서부터 발생하는 수면의 질 저하와 만성적인 스트레스 반응, 그리고 그로 인한 전신 건강의 붕괴이다. 청력 손상에 대한 걱정은 타당하지만, 그보다 먼저 심장, 뇌, 그리고 신진대사에 가해지는 소리 없는 공격에 주목해야 한다.
제3부: 소음이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방식
3.1. 수면 구조에 대한 공격
수면은 단순히 의식이 없는 상태가 아니다. 이는 여러 단계가 정교하게 순환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크게 얕은 수면, 깊은 수면(비렘수면 3단계), 그리고 렘(REM)수면으로 구성된다. 각 단계는 신체 회복, 기억 통합, 감정 조절 등 고유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26
수면 중 소음은 이 정교한 수면 구조를 파괴하는 주범이다. 소음은 뇌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신체와 정신의 회복에 가장 중요한 깊은 수면과 렘수면의 시간을 단축시킨다.26 뇌는 소음 때문에 더 얕고 질 낮은 수면 단계에 머무르게 되며, 이는 수면의 회복 기능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결과적으로, 침대에서 보낸 시간이 아무리 길더라도 아침에 일어났을 때 피로가 풀리지 않고 멍한 느낌을 받게 된다.26
3.2. 미세 각성과 수면 분절: 느끼지 못하는 방해
소음이 반드시 잠에서 완전히 깨어나게 해야만 해로운 것은 아니다. 잠에서 깨지 않더라도, 소리는 '미세 각성(micro-arousal)'이라 불리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뇌파가 수면 상태에서 각성 상태로 아주 잠깐 이동하는, 스스로는 인지하지 못하는 무의식적인 반응이다.28
밤새도록 이러한 미세 각성이 반복되면 수면은 조각조각 끊어지는 '수면 분절(sleep fragmentation)' 상태가 된다. 이는 수면의 연속성을 파괴하여, 깊은 수면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회복 과정이 계속해서 중단되고 재시작되도록 만든다. 잠을 자는 사람은 밤새 뒤척였다는 사실조차 기억하지 못할 수 있지만, 그들의 수면의 질은 이미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다.26 서론에서 언급된 배내측 시상핵의 대체 청각 경로는 바로 이러한 미세 각성이 일어나는 신경학적 증거를 제공한다.2
3.3. 질 낮은 수면의 결과
소음으로 인해 유발된 질 낮은 수면은 광범위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 주간 기능 저하: 주간 졸림 증가, 업무 및 학업 수행 능력 저하, 그리고 집중력, 기억력과 같은 인지 기능의 감퇴를 유발한다.26
- 전신 건강 위험: 만성적인 수면 부족과 질 저하는 그 자체로 비만, 우울증, 당뇨병,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다양한 만성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30 이는 다음 장에서 더 자세히 다룰 것이다.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중요한 점이 있다. 바로 '소음에 대한 습관화'라는 착각이다. 도시의 소음이나 TV 소리를 들으며 자는 것에 "익숙해졌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 심리적으로는 어느 정도 소음에 둔감해질 수 있지만, 생리적인 반응은 결코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연구에 따르면, 수년간 소음에 노출된 후에도 신체는 소리 자극에 대해 심박수 변화나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와 같은 생리적 반응을 계속해서 보인다.26 즉, 의식적으로는 소음이 더 이상 거슬리지 않더라도, 우리의 몸은 밤새도록 소리 없는 스트레스 반응을 겪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나는 소음에 익숙해서 괜찮다"는 주관적인 느낌은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신뢰할 만한 지표가 될 수 없으며, 잠재적인 손상은 무의식적으로 계속 축적되고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제4부: 소음 유발 스트레스와 전신 건강의 위기
4.1. 소음-스트레스 축: 원초적 반응
수면 중 소음 노출의 가장 파괴적인 영향은 스트레스 반응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나간다. 특히 취약한 수면 상태에서 들리는 소음은 뇌에 의해 잠재적인 위협 신호로 해석된다. 이는 인체의 '투쟁-도피(fight-or-flight)' 반응을 관장하는 교감신경계를 즉각적으로 활성화시킨다.32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부신(adrenal glands)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아드레날린(adrenaline)과 코르티솔(cortisol)이 혈액으로 분비된다.28 이는 단순히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심리적인 느낌을 넘어, 신체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하고 측정 가능한 호르몬 및 신경학적 사건이다.32
4.2.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음파에서 심장병까지
이 스트레스 반응은 심혈관계에 직접적이고 치명적인 타격을 가한다. TV를 켜고 자는 습관이 어떻게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그 경로를 추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분비된 스트레스 호르몬은 즉각적인 생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심박수가 증가하고, 혈압이 상승하며, 피부와 말초 혈관이 수축한다.32 이러한 반응이 매일 밤 반복되면, 일시적인 혈압 상승이 만성 고혈압으로 발전하고, 혈관 내벽의 섬세한 내피세포에 지속적인 손상을 입힌다.28
손상된 혈관 내벽에는 콜레스테롤과 염증세포가 쌓이기 시작하며, 이는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즉 혈관에 플라크(plaque)가 축적되는 현상을 촉진한다. 동맥경화는 대부분의 심장마비와 뇌졸중의 근본적인 원인이다.32
이러한 연관성은 대규모 역학 연구를 통해 명확히 입증되었다. 대표적으로 주요 공항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항공기 소음에 심하게 노출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심장의 질량과 두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등 심장 구조에 부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심장마비, 뇌졸중, 또는 부정맥을 겪을 위험이 4배나 더 높았다.28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환경청(EEA) 역시 만성적인 소음 노출을 심혈관계 질환과 조기 사망을 유발하는 주요 환경 요인으로 공식적으로 결론 내렸다.33
이러한 기전은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현상과 유사하다.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수면 중 반복적인 저산소증과 각성을 경험하는데, 이는 소음으로 인한 미세 각성과 마찬가지로 교감신경계를 자극하고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청각 신경과 혈관이 손상되어 난청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이 동시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6
4.3. 기타 전신 건강 문제
소음으로 인한 만성 스트레스의 영향은 심혈관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 소화기계: 위장 운동 억제, 위액 분비 감소 등 소화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34
- 내분비계 및 신진대사: 지속적인 코르티솔 분비는 호르몬 균형을 깨뜨리고,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35
이 모든 증거들을 종합해 볼 때, 만성적인 야간 소음 노출은 더 이상 사소한 불편함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잘못된 식습관, 흡연, 운동 부족과 마찬가지로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는 **중대한 생활 습관 위험 요인(modifiable lifestyle risk factor)**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의사가 환자에게 식단 조절과 운동을 권고하듯, 건강한 수면 음향 환경을 조성하는 것 또한 중요한 예방 의학적 처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어지는 권고 사항들은 단순한 '팁'이 아니라, 장기적인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건강 관리 전략으로 이해해야 한다.
제5부: 소음으로 악화되는 기타 청각 질환: 이명과 청각과민증
5.1. 이명(귀울림): 끝나지 않는 악순환
이명(Tinnitus)은 외부의 소리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귀나 머릿속에서 '삐' 소리, '윙' 소리 등 특정 소리를 인지하는 증상이다.37 이명은 그 자체로 질병이라기보다는 다른 기저 질환에 동반되는 하나의 증상이다.
수면 중 소음과 이명의 관계는 다각적이고 복합적이다.
- 직접적 원인: 큰 소음에 대한 노출은 이명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다. 소음은 내이의 유모세포를 손상시키는데, 이러한 청력 손상이 이명 발생의 시발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38
- 악화 요인: 스트레스, 불안, 수면 부족은 이명을 인지적으로 더욱 악화시키는 핵심 요인이다.37 야간 소음은 바로 이 세 가지 요인을 모두 유발한다.
- 악순환의 고리: 야간 소음이 수면을 방해하고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 →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은 이명을 더 크고 성가시게 만든다 → 커진 이명은 더 큰 불안을 유발하고 잠들기 어렵게 만든다 → 이 악순환이 반복되며 증상은 점점 심각해진다.
이명의 발생 기전은 뇌의 보상 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청력 손실로 인해 뇌로 들어오는 외부 소리 신호가 줄어들면, 뇌의 청각 피질은 이를 보상하기 위해 자체적인 신경 활동의 '이득(gain)' 또는 '볼륨'을 비정상적으로 높인다. 이 과정에서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만들어내는데, 이것이 바로 이명이다.40 질 낮은 수면으로 인한 뇌의 과각성 상태는 이 잘못된 신호를 더욱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5.2. 청각과민증과 소음혐오증: 일상의 소리가 고통이 될 때
청각과민증(Hyperacusis)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편해하지 않는 일상적인 소리를 견디지 못하고 고통스럽게 느끼는 증상이다.42 소음혐오증(Misophonia)은 쩝쩝거리는 소리, 숨소리 등 특정 소리에 대해 강한 혐오감과 분노를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42
이러한 증상들의 핵심 기전으로 '비정상적 청각 이득(abnormal auditory gain)' 이론이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43 이는 입력되는 소리 신호의 강도에 비해 뇌의 청각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신경 흥분을 일으키는, 즉 뇌의 '볼륨 조절 장치'가 고장 나 과도하게 증폭된 상태를 의미한다.
만성적인 야간 소음과 스트레스는 이러한 상태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음으로 인한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은 신경계를 극도로 예민하고 경계하는 '과잉 각성(hyper-vigilance)' 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뇌가 소리를 위협적이거나 압도적인 자극으로 인식하는 역치가 낮아져, 이전에는 아무렇지 않았던 소리에도 과민하게 반응하게 된다.42 심지어 소리 자체에 대한 두려움이 또 다른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청각 시스템을 더욱 민감하게 만드는 악순환이 형성되기도 한다.45
결론적으로 이명과 청각과민증은 단순히 '귀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청력 손상과 만성 스트레스라는 자극에 대해 뇌가 잘못 적응하여 나타나는 신경계의 '부적응적 신경가소성(maladaptive neuroplasticity)'의 증거다. TV를 켜고 자는 습관 등으로 인한 만성적인 야간 소음은 청력 손상, 스트레스, 수면 부족이라는 조건을 모두 제공함으로써, 뇌가 이러한 병적인 상태로 빠져들고 유지되도록 하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셈이다.
제6부: 건강한 청각 수면 환경 조성을 위한 전문가 권고 사항
6.1. 소음원 관리: 텔레비전 사용을 위한 최선의 실천법
- 취침 예약 기능은 필수: TV를 켜고 자는 습관을 가진 사람에게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은 '취침 예약' 또는 '자동 꺼짐'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다. 모든 최신 TV와 셋톱박스에는 이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매일 밤 잠자리에 들기 전, 이 기능을 반드시 설정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46
- 삼성 TV: 리모컨 홈 버튼 → 설정 → 전체 설정 → 일반 및 개인 정보 → 전원 및 절전 → 취침 예약 (최대 180분 설정 가능).48
- LG TV: 리모컨 설정 버튼 → 전체 설정 → 일반 → 예약 시간 설정 → 취침 예약.46
- B tv (SK브로드밴드): B tv 홈 → MY → 설정 → 사용자 맞춤 설정 → 자동 취침모드 → 사용함 및 시간 설정.47
- U+ tv (LG유플러스): 리모컨 홈 버튼 → 마이메뉴 → 설정 → 시스템 설정 → 자동 전원 → 시간 선택.50
- '자동 음량 조절' 기능 활성화: 이 기능은 방송 채널이나 프로그램, 광고 사이에 발생하는 급격한 음량 변화를 줄여준다. 이를 통해 수면 중 갑작스러운 큰 소리로 인한 각성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인 음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24 TV 설정의 '음향' 또는 '전문가 설정' 메뉴에서 '자동 음량' 옵션을 찾아 켜기로 설정하면 된다.
6.2. 소음 차단: 수면용 귀마개 선택 및 사용 가이드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귀마개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모든 귀마개가 동일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므로, 자신의 필요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성능 지표 이해하기:
- NRR (Noise Reduction Rating): 미국 표준 소음 감소율. NRR 수치가 높을수록 차음 성능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NRR이 $33 \text{ dB}$인 귀마개는 이상적인 실험실 환경에서 $90 \text{ dB}$의 소음을 $57 \text{ dB}$로 줄여줄 수 있다. 다만,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착용 방법 등에 따라 차음 효과가 NRR 수치의 절반 정도로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52
- 산업용 등급 (EP-1 vs. EP-2): 국내 방음용 귀마개는 성능에 따라 1종과 2종으로 나뉜다.
- 1종 귀마개 (EP-1): 저음부터 고음까지 모든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균일하게 차단한다. 일반적인 환경 소음을 막아야 하는 수면용으로는 1종 귀마개가 가장 적합하다.53
- 2종 귀마개 (EP-2): 주로 고주파 소음을 차단하면서 대화음이 속한 저주파 영역은 비교적 통과시킨다. 산업 현장에서 의사소통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수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53
표 2: 수면용 귀마개 선택을 위한 실용 가이드
자신의 수면 환경과 필요에 맞는 최적의 귀마개를 선택하기 위해 다음 표를 참고할 수 있다.
나의 수면 환경 / 필요 | 추천 귀마개 종류 | 핵심 고려사항 | 선택 이유 및 고려사항 |
---|
교통 소음이 심한 도시 거주 | 고 NRR 폼(Foam) 타입 귀마개 | NRR $30 \text{ dB}$ 이상, 1종(EP-1) 등급 | 저주파의 차량 소음까지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최대의 소음 감소율이 필요. 올바른 착용법 숙지 필수. |
배우자의 코골이 | 성형 가능한 실리콘(Silicone) 타입 귀마개 | 외이도 입구를 완벽히 밀봉 | 코골이 소리의 특정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귀 모양에 맞춰 완벽한 밀착을 제공. 이물감이 적음. |
매우 예민한 잠버릇 | 저압력(Low-Pressure) 폼 타입 귀마개 | 부드러운 재질, 편안한 착용감 | 밤새 착용해도 귀에 가해지는 압력이 적어 불편함을 최소화. 차음 성능과 편안함의 균형이 중요. |
여행 및 출장 시 사용 | 플랜지(Flanged) 타입 재사용 귀마개 | 휴대성, 간편한 삽입/제거 | 휴대가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편함. 케이스가 함께 제공되는 제품 선택. |
6.3. 소리로 소리를 다스리기: 백색소음과 핑크소음의 장단점
- 청각적 차폐(Auditory Masking)의 원리: 백색소음이나 핑크소음은 일정하고 예측 가능한 소리의 '담요'를 만들어, 문 닫는 소리나 자동차 경적 같은 갑작스럽고 불규칙한 소음이 뇌에 덜 거슬리게 만드는 원리로 작동한다.56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청각 역치를 높여 외부 소음을 덮어주는 효과다.
- 효과에 대한 증거: 여러 연구에서 $40 \text{ dB}$에서 $50 \text{ dB}$ 사이의 낮은 볼륨으로 백색소음을 틀어주었을 때, 주변 소음을 차폐하고 긴장을 완화시켜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58 특히 저주파수 대역의 에너지가 더 강한 핑크소음은 깊은 수면을 촉진하고 기억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9
- 전문가의 반론 및 주의사항:
- 일부 수면 전문가들은 뇌의 완전한 휴식을 위해서는 어떤 소리도 없는 '완전한 침묵'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주장한다. 어떤 소리든 뇌는 이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27
- 가장 중요한 안전 수칙: 볼륨을 반드시 낮게 유지해야 한다. 백색소음 기계의 볼륨을 너무 높이면, 그 자체가 또 다른 유해한 소음원이 될 뿐이다. 연구에서 효과가 입증된 $40 \text{ dB}$에서 $50 \text{ dB}$ 수준은 조용한 사무실 소음 정도로, 일상 대화보다 훨씬 작다.58
- 백색소음은 어쩔 수 없는 소음을 가리기 위한 '도구'이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6.4. 청각 및 수면 건강을 위한 통합적 접근
위에서 제시된 방법들은 더 큰 그림의 일부이다. 건강한 수면을 위해서는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수면 위생 준수: 매일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침실을 시원하고, 어둡고, 조용하게 만드는 것이 기본이다. 잠들기 전 카페인이나 과도한 식사는 피해야 한다.61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소음의 부정적인 영향을 증폭시키므로, 명상, 심호흡, 규칙적인 운동과 같은 이완 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40
- 전문가 상담: 이명, 난청, 만성 불면증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이비인후과 의사나 수면 의학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적이다.38
결론: 침실의 침묵 - 청각 및 전신 건강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
본 보고서는 "TV를 켜고 자면 청력이 손실될까?"라는 단순한 질문에서 시작하여, 야간 소음이 청각계를 넘어 수면, 신경계, 심혈관계 등 전신 건강에 미치는 다층적이고 심각한 위협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TV를 켜고 자는 습관의 핵심적인 위험은 직접적인 청력 손상보다는, 훨씬 낮은 소음 수준에서부터 시작되는 수면 구조의 파괴와 만성적인 스트레스 반응에 있음을 명확히 확인했다. 뇌는 수면 중에도 소리를 처리하기 위해 깨어 있으며, 이로 인한 미세 각성과 교감신경계의 과도한 활성화는 밤새도록 우리의 몸을 공격한다. 이러한 과정이 수년간 반복되면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마비, 뇌졸중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의 위험을 높이고, 이명이나 청각과민증 같은 고통스러운 청각 질환을 악화시키는 토양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침실의 음향 환경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더 이상 편안함이나 기호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장기적인 건강과 웰빙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이자,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핵심적인 예방 의학의 실천이다. 취침 예약 기능을 생활화하고, 필요하다면 귀마개를 사용하며, 소음 차폐 음향을 현명하게 활용하는 것은 단순히 '꿀잠'을 자기 위한 노력을 넘어, 자신의 심장과 뇌를 보호하는 중요한 건강 관리 행위임을 인지해야 한다. 침실의 고요함은 우리가 스스로에게 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건강 보조제 중 하나이다.
참고 자료
- 청력 이해 및 보호 방법 알아보기 | 필립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hearingsolutions.philips.com/ko-kr/hearing-loss/hearing
- 깊은 잠 속에서도 소리에 반응하는 이유? - 의협신문,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581
- [과학 한스푼] 수면 중 알람 듣고 깨는 신경회로 규명...각성 장애 치료 단초 / YTN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e8G20kMDbPc
- Noise-Induced and Age-Related Hearing Loss in Korea - KoreaMed Synaps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synapse.koreamed.org/func/download.php?path=L2hvbWUvdmlydHVhbC9rYW1qZS9zeW5hcHNlL3VwbG9hZC9TeW5hcHNlWE1MLzAwMzhram9ybC9wZGYva2pvcmwtaG5zLTIwMjMtMDExOTMucGRm&filename=a2pvcmwtaG5zLTIwMjMtMDExOTMucGRm
- 소음성 난청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l.or.kr/info/sub01_13.php
- 소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산업현장을 중심으로.,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jksee.or.kr/upload/pdf/KSEE_1_2007_02_131(C).pdf
-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el.go.kr/local/boryeong/common/downloadFile.do?file_seq=21171323219&bbs_seq=1503039442512&bbs_id=LOCAL1
- A Review of Occupational Disease Certification Criteria for Noise-Induced Hearing Impairment -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e-asr.org/upload/pdf/asr-13-4-265.pdf
- 소음성 난청을 유발시키는 이어폰,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hpwellness.aimmed.com/03_healthinfo/menu03_04_view.asp?cate1_cd=A004&cate2_cd=B004&cate3_cd=C002&cate4_cd=&pageNo=2&CONTENT_SEQ=20162
- 소음노출 근로자들의 직업병 - KoreaMed Synaps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30hmr/hmr-30-326.pdf
- [박광식의 건강365] '소리크기 데시벨(dB)을 알면 난청이 보인다'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CpTm3Kky1v0
- 소음성난청 - ::: 대한청각학회 :::,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audiosoc.or.kr/info/?category=08
-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의 소음도와 소음성난청 예방방법 - 대전광역시,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daejeon.go.kr/drh/board/boardNormalView.do?boardId=normal_0167&menuSeq=1547&pageIndex=2018&ntatcSeq=37328
- [청각학] 소음 측정의 기준, 데시벨(dB)에 대한 이해 - 이편한보청기 청각센터,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easyhearing.tistory.com/1202
- 데시벨 측정기 어플로 소리 크기 측정 : 사운드 미터 - AppFe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feeapp.tistory.com/37
- 데시벨: db 소음 측정기 4+ - App Stor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apps.apple.com/kr/app/%EB%8D%B0%EC%8B%9C%EB%B2%A8-db-%EC%86%8C%EC%9D%8C-%EC%B8%A1%EC%A0%95%EA%B8%B0/id1227650795
- 층간소음< 교육자료 < 즐겨봐요 : 케미스토리,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eco-playground.kr/chemistory/545?action=read&action-value=bae9fd46038f544a6914fbf16acf7d72&page=8
- 소음 60dB 수면장애 초래·80dB 청력장애 불러 - 경상일보,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2237
- '이 소리' 듣기만 해도 치매 위험 감소한다 - 헬스조선,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4021602252
- 노동상식 > 최신판례 > 저강도 소음이라도 장시간 노출 원인 난청은 “산재” - 울산광역시 동구청,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donggu.ulsan.kr/cwc/bbs/board.php?bo_table=work02&wr_id=256&stx=&sst=wr_datetime&sod=desc&sop=and&page=6
- Current Issue on Noise-Induced Hearing Loss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ejao.org/journal/view.php?number=448
- 소음 기준 - 이스트라(ESTLA),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estla.co.kr/QnA/?bmode=view&idx=5965357
- db 소음계, 데시벨소음측정기 4+ - Decibel X - App Stor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apps.apple.com/kr/app/decibel-x-db-%EC%86%8C%EC%9D%8C%EA%B3%84-%EB%8D%B0%EC%8B%9C%EB%B2%A8%EC%86%8C%EC%9D%8C%EC%B8%A1%EC%A0%95%EA%B8%B0/id448155923
- TV 시청 중 음성이 커졌다 작아졌다 해요(2020년TV) - 삼성전자서비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28831
- TV 음성 (음질, 소리) 간단 사용 방법 - 삼성전자서비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1083519
- [고양,일산보청기] 소음이 수면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연구,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easyhearing.tistory.com/904
- 숙면 돕는다는 핑크소음, 계속 들으면? - 주간조선,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89
- 공항 근처 소음 스트레스··· 심뇌혈관질환 위험 4배↑ - 하이닥,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35
- '핑크 소음', 숙면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 되나? - YTN 사이언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key=202405271607051640
- 백색소음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nhs.or.kr/pdf/?num=NHS-23-005
- 백색소음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ww.nhs.or.kr/view/NHS-23-005.pdf
- 공항 근처 소음 스트레스··· 심뇌혈관질환 위험 4배 - 김준환속내과의원,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ww.xn--vb0b0x37c571aoqiv8t.com/Module/News/News.asp?MODE=V&SRNO=33481
- [메디컬 Why] 소음, 스트레스호르몬 높여 혈관 손상 - 헬스조선,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071300163
- 소음에 의한 질환이란? -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31901/htmlCnView.do
- 소음과 우리들의 건강 - 교통뉴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ww.cartv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60638
- 수면중 숨 멈추는 시간 길수록 '청력' 나빠진다 - 재활뉴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rehab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1656
- 이명 [Tinnitus] - 세브란스병원,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sev.severance.healthcare/sev/doctor/board_disease.do?mode=view&articleNo=66657&title=%EC%9D%B4%EB%AA%85+%5BTinnitus%5D
- 귀울림 - 나무위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A%B7%80%EC%9A%B8%EB%A6%BC
- 귓속에 맴도는 삐삐 소리, '이명'의 모든 것 - 메디팜헬스뉴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edipharmhealth.co.kr/mobile/article.html?no=72923
- 211화. 수면을 방해하는 이명, 해결하는 방법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_1lawZc7fxU
- 이명 - 국가건강정보포털 - 질병관리청,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706
- '이 소리' 듣기만 해도 신경질 난다면… 혹시 '청각과민증'? - 헬스조선,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4010500785
- 청각과민증(Hyperacusis)의 기전, 진단 및 치료 - 임상이비인후과,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jcohns.org/download/download_pdf?pid=jcohns-22-1-3
- 미소포니아(misophonia), 선택적 소음과민 증후군이란? -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maum-sopoong.or.kr/infor_story/21786
- 미소포니아, 층간소음, 소리에 예민할 때 : 닥터U의 ' 청각과민 완치훈련 '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RaQe8pv-6U
- 취침 예약하기,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kr.eguide.lgappstv.com/manual/w18/atsc/Contents/settings/general/timers_k_u_b/kor/w40__settings__general__timers_k_u_b__kor.html
- B tv 자동 취침 모드 설정하기,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blog.skbroadband.com/entry/B-tv-%EC%9E%90%EB%8F%99-%EC%B7%A8%EC%B9%A8-%EB%AA%A8%EB%93%9C-%EC%84%A4%EC%A0%95%ED%95%98%EA%B8%B0
- TV에서 취침 예약, 꺼짐 시간 예약 방법 (2025년) - 삼성전자서비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samsungsvc.co.kr/video/4000967
- 취침예약 설정 - Sony Corporation,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helpguide.sony.net/apmig/Y100161111/v1/kr/KDL-xxHX750/korea_kor/c_clock_sleep.html
- 내가 잠들면 TV도 잠들게 하는 방법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shorts/vG5qmtiD-T4
- [삼성전자 TV] TV에서 취침 예약, 꺼짐 시간 예약 하는 방법 (2025년 TV)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rjkfv-UnXGA
- 소음성 난청은 100% 예방이 가능합니다 - 3M,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ultimedia.3m.com/mws/media/1381067O/3m-ppe-catalog-hearing-protection.pdf
- 방음보호구의 사용법,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b59b88d6252c449ea315efc9530b68da&fileSn=1&bbsId=
- 【별표 12】방음용 귀마개 또는 귀덮개의 성능기준,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flDownload.do?flSeq=8363145&flNm=%5B%EB%B3%84%ED%91%9C+12%5D+%EB%B0%A9%EC%9D%8C%EC%9A%A9+%EA%B7%80%EB%A7%88%EA%B0%9C+%EB%98%90%EB%8A%94+%EA%B7%80%EB%8D%AE%EA%B0%9C%EC%9D%98+%EC%84%B1%EB%8A%A5%EA%B8%B0%EC%A4%80%28%EC%A0%9C33%EC%A1%B0+%EA%B4%80%EB%A0%A8%29
- 귀마개 등급 중에 1종(EP-1), 2종(EP-2)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ww.safetynetwork.co.kr/ns/bbs/board.php?bo_table=data05&wr_id=462&sca=12-594-597&page=2
- 비행기와 도서관 등에는 왜 백색소음을 작동시킬까 - 월간 리뷰,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ireview.kr/17345
- [동향]일상 속 백색소음, 그 효과는? - 사이언스온,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SCTM00122783
- [논문]백색소음이 대학생의 수면의 질,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712965728994
- 밤에 '이 소리' 들으면… 깊은 잠 자고, 치매 위험은 줄어든다 - 헬스조선,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5020703088
- 새·바람·파도소리 등 '백색 소음'이 과연 불면증 묘약일까? - 한국일보,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6081843750525
- 수면 부족하면 심장질환 위험 증가 - 의학정보 > 칼럼,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ww.gysarang.com/Module/News/News.asp?MODE=V&SRNO=19677
- 소음작업 안전대책,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safety.or.kr/safety/cmmn/file/fileDown.do?atchFileId=96669149fa4042d9bcb4f50c9ea545ed&fileSn=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