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Deep Research Archives

  • new
  • |
  • threads
  • |
  • comments
  • |
  • show
  • |
  • ask
  • |
  • jobs
  • |
  • submit
  • Guidelines
  • |
  • FAQ
  • |
  • Lists
  • |
  • API
  • |
  • Security
  • |
  • Legal
  • |
  • Contact
Search…
threads
submit
login
▲
디지털 탯줄: 자동차 원격 서라운드 뷰와 커넥티드 카 통신의 심층 분석(docs.google.com)

1 point by karyan03 4 weeks ago | flag | hide | 0 comments

디지털 탯줄: 자동차 원격 서라운드 뷰와 커넥티드 카 통신의 심층 분석

서론: 핵심 질문에 대한 해답 - 셀룰러 통신과 그 한계

자동차의 '주차 중 주변 환경 촬영 전송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질문의 핵심 답변부터 명확히 제시합니다. 이 기능은 위성을 통해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동일한 **셀룰러 이동통신망(LTE/5G)**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사용자가 경험한 바와 같이 지하 2층과 같은 주차 공간에서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이는 셀룰러 전파가 콘크리트, 흙, 철근과 같은 구조물에 의해 심하게 감쇠되거나 차단되어 발생하는 '음영 지역' 때문입니다.1 즉, 차량이 이동통신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없는 환경에서는 원격 기능이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본 보고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터치 한 번으로 시작된 명령이 어떻게 차량에 전달되고, 촬영된 이미지가 다시 사용자의 화면에 나타나기까지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추적하며 그 기술적 원리를 심도 있게 분석할 것입니다.

1부: 원격 요청의 해부학 - 단계별 여정

하나의 원격 뷰 요청이 어떤 경로를 거쳐 처리되는지, 그 신호와 데이터의 여정을 서사적으로 풀어 설명합니다.

1.1. 명령: 앱에서 클라우드로

모든 과정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조사 앱(예: '마이 제네시스(My GENESIS)' 2, '마이 BMW(My BMW)' 4)을 통해 시작됩니다. 중요한 점은 이 앱이 차량과 직접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사용자가 앱에서 '원격 뷰' 버튼을 누르면, 이 명령은 인터넷(Wi-Fi 또는 셀룰러 데이터)을 통해 제조사의 클라우드 플랫폼(예: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플랫폼, BMW 커넥티드 드라이브 서버)으로 전송됩니다.

이 명령은 보안 인증 절차를 거친 요청으로, "차량 식별 번호(VIN) [고유번호]를 가진 차량을 깨워 '원격 뷰' 명령을 실행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앱은 사용자의 계정 정보와 필요시 생체 인증 6을 통해 안전하게 명령을 전송합니다.

1.2. 각성: 클라우드에서 차량으로

제조사의 서버는 이 요청을 수신하는 중앙 관제소 역할을 합니다.7 서버는 먼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서비스 구독 상태(유/무료 기간 등)를 점검합니다.9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는 해당 차량을 깨우기 위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셀룰러 통신망을 통해 발송합니다. 이 신호는 푸시 알림과 유사한 매우 작은 데이터 패킷으로, 차량 내부에 장착된 텔레매틱스 제어 장치(TCU: Telematics Control Unit)로 전달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공학적 고려사항이 드러납니다. 차량은 12V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항상 모든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대기하지 않습니다. 대신, 네트워크로부터 신호가 오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저전력 '수신 대기' 모드를 유지합니다. 지하 주차장에서의 첫 번째 실패 지점은 바로 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일부 서비스는 배터리 방전을 막기 위해 특정 시간이 지나면 원격 기능을 제한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현대차 블루링크는 마지막 시동 후 48시간이 경과하면 원격 시동이 제한될 수 있는데 11, 이는 배터리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입니다.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가 7일간 차량 미운행 시 주행을 권고하는 '배터리 방전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것 2 역시 제조사가 이 전력 관리 문제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1.3. 촬영: 차량 내부 처리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한 TCU는 카메라 시스템을 포함한 필요한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들을 활성화합니다. 차량의 전후좌우(보통 전면 그릴, 후면, 사이드미러 하단)에 장착된 서라운드 뷰 카메라들이 일련의 이미지를 촬영합니다.12

차량 내 프로세서는 이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3D 또는 360도 합성 이미지(컴포지트 뷰)를 생성합니다. 이는 운전자가 주차 시 실시간으로 보는 서라운드 뷰와 동일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5 이 과정은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이 아니라 특정 시점의 스냅샷을 촬영하는 방식입니다. BMW 리모트 3D 뷰에 대한 설명에서도 이 점이 확인되는데 5, 이는 데이터 사용량과 전송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도적인 설계입니다.

1.4. 업링크: 차량에서 클라우드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수백 킬로바이트에서 메가바이트 크기의 파일)는 TCU에 의해 패키징됩니다. TCU는 내장된 SIM(eSIM)을 사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LTE 또는 5G)에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고, 이 이미지 파일을 다시 제조사의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합니다.1

이 단계가 지하 2층 주차장에서 기능이 실패하는 두 번째이자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 됩니다. 차량이 셀룰러 신호가 없거나 매우 약한 위치에 있다면 이 업로드 과정이 불가능합니다. 시스템은 일정 시간 동안 업로드를 시도하다가 시간 초과(timeout)로 실패하고, 사용자 앱에 오류를 보고하게 됩니다.

1.5. 마지막 여정: 클라우드에서 앱으로

클라우드 서버는 차량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합니다. 그 후, 이 데이터를 다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으로 푸시합니다. 앱은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3D/서라운드 뷰 이미지를 보여줍니다.3 양호한 통신 환경에서도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약간의 지연 시간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16

2부: 통신의 중추 - 기술의 실체

이 장에서는 기능 구현에 사용되는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기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위성 통신 가설을 반증하고 셀룰러 통신의 현실을 설명합니다.

2.1. 차량의 생명선: 텔레매틱스 제어 장치(TCU)와 eSIM

커넥티드 카의 심장은 자체 모뎀을 갖춘 전용 컴퓨터인 TCU입니다.1 최신 차량들은 물리적인 SIM 카드 대신 프로그래밍 가능한 칩을 TCU 회로 기판에 직접 내장하는

eSIM(Embedded SIM) 방식을 사용합니다.4

eSIM으로의 전환은 커넥티드 카 기술의 핵심적인 발전입니다. 이를 통해 차량은 스마트워치처럼 셀룰러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등록 가능한 장치가 됩니다. 제조사는 전 세계적으로 차량의 통신을 관리할 수 있게 되며, BMW가 국내 통신 3사(SKT, KT, LG U+)와 제휴하여 제공하는 차량용 Wi-Fi 핫스팟 및 스트리밍을 위한 별도 데이터 요금제처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19 또한, 사용자가 통신사 가입 현황을 조회했을 때 자신의 차량 명의로 된 회선(예: 현대/제네시스 차량의 경우 LG U+ 회선)이 보이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14

2.2. 셀룰러가 왕인 이유: V2N(Vehicle-to-Network) 패러다임

차량과 제조사 클라우드 간의 통신은 V2N(Vehicle-to-Network)이라고 불립니다.23 V2N 통신 기술로 셀룰러(LTE/5G)가 선택된 이유는 명확합니다.

  • 대역폭(Bandwidth): 이미지 전송, 음악 스트리밍, 대용량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등을 처리하기에 충분한 대역폭을 제공합니다.25
  • 보편성(Ubiquity): 셀룰러 네트워크는 대부분의 차량이 운행되는 인구 밀집 지역에 광범위하게 구축되어 있습니다.
  • 비용 효율성(Cost-Effectiveness): 자동차 제조사가 독자적인 통신망을 구축하는 것보다 기존 공용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입니다.
  • 양방향 통신(Two-Way Communication): GPS와 달리 셀룰러는 본질적으로 양방향 통신 매체로, 차량에 명령을 보내고 데이터를 다시 수신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3. 위성의 역할 명확화: GPS 대 데이터 통신

사용자의 위성 통신 가설을 이 부분에서 명확히 정리합니다. 차량에는 우리가 흔히 GPS라고 부르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핵심적인 차이점은 GNSS 수신기가 수동적인 수신 전용(Receive-only) 장치라는 것입니다. 이 장치는 여러 위성으로부터 오는 시간 신호를 수신하여 지구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삼각 측량법으로 계산할 뿐, 위성으로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할 수 없습니다.24 차량은 이 GPS 정보를 자체 내비게이션에 사용하거나, '내 차 위치 확인'과 같은 기능을 위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셀룰러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합니다.1

사용자가 혼동하는 것은 '위성'이라는 단어가 자동차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역할은 위치 측정에 한정되며, 이미지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과는 무관합니다. 아래 표는 이러한 기술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표 1: 자동차 통신 기술 비교

기술차량 내 주요 기능데이터 흐름주요 특징대표 기능
셀룰러 (LTE/5G)양방향 데이터 전송 (V2N)양방향광대역, 넓은 커버리지, 구독 필요 4원격 서라운드 뷰, OTA 업데이트, 음악 스트리밍 3
GNSS (GPS)위치 측위단방향 (수신 전용)글로벌 커버리지, 하늘 조망 필요, 저대역폭 신호 24내비게이션, 내 차 위치 찾기 (위치 데이터는 셀룰러로 전송) 1
Wi-Fi차량 내 핫스팟, 자택에서 지도 업데이트양방향광대역, 단거리 27탑승자용 인터넷, 자택 주차 시 대용량 업데이트 다운로드
블루투스스마트폰 연동, 디지털 키양방향저대역폭, 초단거리핸즈프리 통화, 스마트폰 음악 재생, 무선 키 시스템 23
C-V2X차량-사물 간 통신양방향저지연, 안전을 위한 고신뢰성 24충돌 경고, 신호등 정보 안내 7
저궤도 위성 (예: 스타링크)차세대 범용 인터넷 접속양방향광대역, 잠재적 글로벌 커버리지, 특수 안테나 필요 30미래의 상시 연결 가능성, 현재는 특수 차량용

2.4. '음영 지역' 현상의 기술적 설명

셀룰러 신호는 고주파 전파로 직진성이 강하며, 밀도 높은 물질에 의해 쉽게 차단되거나 반사됩니다(패러데이 케이지 효과). 지하 주차장, 특히 지하 2층, 3층으로 내려갈수록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도달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일부 건물에는 실내 중계기(분산 안테나 시스템)가 설치되어 있지만, 모든 곳에, 특히 오래된 건물이나 주거용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현대자동차가 공식적으로 제시하는 서비스 제한 장소 목록(터널 안, 산간 지역, 빌딩 밀집 지역, 건물 안 등)은 이러한 원리를 명확히 뒷받침합니다.1

2.5. 미래의 가능성: 저궤도(LEO) 위성 인터넷

오늘날의 시스템은 위성 기반이 아니지만, 미래는 다를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Starlink)**와 같은 서비스는 수천 개의 저궤도 위성군을 구축하여 전 세계에 광대역, 저지연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30 스타링크는 이미 RV나 선박과 같은 이동 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견고한 안테나를 갖춘 '스타링크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31, 항공기 탑재 허가도 요청한 바 있습니다.33

이는 미래에 차량-위성 간 직접 인터넷 연결이 셀룰러 음영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외딴 지역이나 깊은 지하에서도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아직 대중적인 자동차 시장에 적용되기에는 초기 단계이며, 별도의 안테나와 비용 구조를 가집니다.30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대부분 양산차에 있어 셀룰러는 여전히 표준 통신 방식입니다. 스타링크의 한국 시장 진출이 곧 가시화될 것으로 보여 34,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더욱 빨라질 수 있습니다.

3부: 보이지 않는 인프라 - 클라우드 플랫폼의 결정적 역할

자동차의 '스마트'한 기능은 종종 차량 자체가 아닌, 그 뒤에 있는 거대한 서버 인프라에 존재합니다.

3.1. 디지털 트윈: 자동차의 두뇌가 되는 서버

제조사의 클라우드 플랫폼은 연결된 모든 차량의 상태 기록, 즉 '디지털 트윈'을 유지합니다.7 이 서버는 차량이 마지막으로 보고한 위치, 배터리 잔량, 문 잠금 상태, 연료량 등을 알고 있습니다.3 사용자가 앱을 열었을 때, 명령을 보내기 전에 보이는 정보는 종종 서버에 캐시된 이 데이터를 먼저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는 차량이 현재 통신 불가능한 지역에 있더라도 마지막으로 알려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이는 분실된 기기의 마지막 온라인 위치를 알려주는 삼성의 '내 디바이스 찾기' 기능과 유사한 원리입니다.28

3.2. 중앙 신경계: 원격 뷰 그 이상의 기능

클라우드 서버는 원격 뷰뿐만 아니라 방대한 서비스의 허브 역할을 합니다.

  • 내비게이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처리하여 최적의 경로를 계산합니다. 이는 차량의 온보드 프로세서만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복잡한 연산입니다.8
  • 음성 인식: "내일 날씨는 어때?"와 같은 자연어 명령은 클라우드로 전송되어 강력한 AI 엔진에 의해 처리된 후, 그 결과가 다시 차량으로 전송됩니다.26
  • 차량 진단: 차량이 건강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서버는 이를 분석하여 정비 필요성을 예측하거나 경고를 보낼 수 있습니다.1
  • OTA 업데이트: 서버는 소프트웨어 및 지도 업데이트를 관리하고 무선으로 차량에 배포합니다.8

3.3. 서비스 플랫폼 비교 분석

이러한 개념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현대/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GCS): 현대오토에버가 개발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원격 제어, 안전, 차량 관리, 내비게이션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8 국내에서는 LG U+를 셀룰러 파트너로 이용하며 14, 본 보고서에서 다루는 기능의 정식 명칭은 '자차주변 영상 조회 서비스'입니다.3
  • BMW 커넥티드 드라이브: '리모트 3D 뷰'를 포함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5 비즈니스 모델은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기본 연결성과 고용량 데이터 사용 기능을 분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내 통신 3사(SKT, KT, LG U+)와 제휴하여 '퍼스널 eSIM' 요금제를 제공, 고객이 기존 스마트폰 요금제에 차량을 '세컨드 디바이스'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4

전반적인 아키텍처(차량 → 셀룰러망 → 클라우드 → 앱)는 제조사 간에 유사하지만, 비즈니스 모델과 파트너십은 다릅니다. BMW가 사용자에게 월 49,500원에 150GB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상품을 별도로 판매하는 접근 방식은 22, 미래의 자동차가 단순한 텔레매틱스 명령을 넘어 주요 미디어 소비 장치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표 2: 주요 커넥티드 서비스 기능 및 비용 비교 (국내 기준)

서비스 제공사서비스명원격 뷰 기능명구독 모델 (무료 기간 이후)통신 파트너 (국내)
제네시스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GCS)자차주변 영상 조회 3기본: 월 11,000원. 1년 약정: 월 5,500원.9 신차 구매 후 5년 무료.10LG U+ (기본 텔레매틱스) 14
현대자동차블루링크(GCS와 유사)기본: 월 11,000원. 1년 약정: 월 5,500원.11 5년 무료.LG U+ 14
BMW커넥티드 드라이브리모트 3D 뷰 15기본 연결성 포함. 인카 Wi-Fi/스트리밍용 별도 eSIM 요금제 (SKT, KT, LGU+).4SKT, KT, LG U+ (퍼스널 eSIM)

4부: 현실적 제약과 실제적 고려사항

이 장에서는 기술의 '작은 글씨'에 해당하는 부분, 즉 엔지니어와 제품 관리자들이 직면하는 트레이드오프와 과제들을 다룹니다.

4.1. 전력 문제: 배터리 방전과의 싸움

앞서 언급했듯이, 지속적인 고전력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차량의 12V 보조 배터리를 빠르게 소모시킬 수 있습니다.38 제조사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전략을 사용합니다.

  • 저전력 대기 모드: TCU는 매우 낮은 전력 상태로 작동하다가 명령을 수신했을 때만 완전히 활성화됩니다.
  • 서비스 시간 제한: 일정 기간 미사용 시 기능을 비활성화합니다 (예: 블루링크 원격 시동 48시간 규칙).11
  • 스마트 알림: GCS의 '배터리 방전 알림'처럼 배터리 상태가 저하되면 사용자에게 사전에 경고합니다.2

이는 끊임없는 균형 잡기 싸움입니다. 새로운 커넥티드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잠재적인 '암전류(누설 전류)'의 원인이 하나씩 늘어납니다. 따라서 커넥티드 서비스의 신뢰성은 수십 년간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은 기존 12V 배터리의 건강 상태 및 관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4.2. 연결 비용: 데이터 요금제와 구독료

연결성은 무료가 아닙니다. 그 비용은 초기 일정 기간(예: 제네시스 국내 5년) 동안 차량 구매 가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9 무료 기간이 끝나면 사용자는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구독료를 지불해야 합니다.9

차량 내 스트리밍과 같은 고용량 데이터 기능의 경우, BMW의 eSIM 요금제 19나 제네시스의 스트리밍 요금제 9에서 볼 수 있듯이 별도의 더 비싼 데이터 요금제가 필요합니다. 이는 자동차가 하드웨어 일회성 판매에서 장기적인 서비스 관계로 가치를 전환하며, 자동차 제조사에게 지속적인 수익원이 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4.3. 지연, 신뢰성, 그리고 보안

  • 지연(Latency): 앱 → 클라우드 → 차량 → 클라우드 → 앱으로 이어지는 다단계 통신 경로는 체감 가능한 지연을 유발합니다. 사용자들은 특히 이용량이 많은 시간대에 연결이 느리거나 실패할 수 있다고 보고합니다.16
  • 신뢰성(Reliability): 서비스는 사용자 인터넷, 제조사 클라우드 서버, 셀룰러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안정성에 모두 의존합니다. 이 사슬의 어느 한 지점에서라도 장애가 발생하면 기능은 실패합니다.
  • 보안(Security): 차량의 연결성이 높아질수록 해킹의 표적이 됩니다. 통신은 암호화되지만, TCU, CAN 버스, 클라우드 서버 등 시스템의 복잡성은 제조사가 반드시 보호해야 할 다수의 잠재적 공격 경로를 만듭니다.17 이는 자동차 공학에서 매우 중요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연구 분야입니다.

결론: 시스템의 종합

본 보고서의 분석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합니다. 원격 뷰 기능은 차량의 온보드 센서 및 TCU, 보편적인 셀룰러 네트워크, 그리고 강력한 백엔드 클라우드 플랫폼이라는 세 가지 기술의 정교한 협업을 통해 구현되는 서비스입니다. 이는 결코 위성과의 직접적인 데이터 링크에 기반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지하 2층 주차장에서 겪은 기능 실패는 결함이 아니라, 대역폭과 비용 효율성을 위해 선택된 셀룰러 기술의 예측 가능한 한계입니다.

미래를 전망하면, 5G로의 진화는 지연 시간을 줄일 것이며 25, V2X(Vehicle-to-Everything) 기술의 발전은 자동차를 스마트 시티 생태계의 더욱 통합된 일부로 만들 것입니다.7 또한, 저궤도 위성 인터넷 31의 잠재적 통합은 언젠가 오늘날의 연결성 격차를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에서 '멀티 플레이스' 플랫폼 17 또는 '바퀴 달린 스마트폰' 14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뒷받침하는 통신 기술은 앞으로도 빠른 속도로 계속 진화할 것입니다.

참고 자료

  1. 블루링크,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ebmanual.hyundai.com/PREM_GEN5/AVNT/FE/KOR/Korean/bluelink001.html
  2. 배터리 방전 알림 - 제네시스 커넥티드 주요 서비스 차량 관리 - Genesis,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genesis.com/kr/ko/members/my-genesis-app/genesis-connected-services/vehicle-management/discharge-notification.html
  3.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소개 - Genesis,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ebmanual.genesis.com/PREM_GEN6/AVNT/RG3/KOR/Korean/genesisconnectedservices002.html
  4. 차량 전용 e심 요금제 나왔다 - 지디넷코리아,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30502094214
  5. BMW 리모트 3D 뷰 사용법 완벽정리! - 내 차를 지키는건 블랙박스만 있는건 아니다! (my bmw어플로 내차 상황 및 주변둘러보기!)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uLCEPlP3BLY
  6. 제네시스 커넥티드서비스 앱, 아이폰 애플워치 원격시동 사용법(GV80) 본전뽑기#1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Js0bgQQ3Hms
  7. 커넥티드 카 - 나무위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BB%A4%EB%84%A5%ED%8B%B0%EB%93%9C%20%EC%B9%B4
  8. 현대오토에버 | 차량 연동 서비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hyundai-autoever.com/kor/business-area/in-vehicle-it/edge-cloud-computing/contents.do?cntnSeq=348
  9. MY GENESIS 앱 - 서비스 시작하기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가입,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genesis.com/kr/ko/members/my-genesis-app/get-started/sign-up.html
  10. "이런 것까지 된다고?" 제네시스 커넥티드, MY 제네시스 설치 및 사용 방법 A to Z 완벽 정리!,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iLa380FOCPQ
  11. 블루링크 (r40 판) - 나무위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B8%94%EB%A3%A8%EB%A7%81%ED%81%AC?uuid=ed9a5e29-a571-4cf0-8f42-3f54a666a7a0
  12. BMW Connected Drive. Get Started Guide. BMW Remote 3D View. - BMW USA,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bmwusa.com/content/dam/bmw/common/connected-drive/pdf/GSG_Remote_3D_View.pdf
  13. How do I activate Remote 3D View for the My BMW App?,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faq.bmwusa.com/s/article/FAQ-How-do-I-turn-on-Remote-3D-View-for-the-My-BMW-App-nmjoR
  14. 블루링크 - 나무위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B8%94%EB%A3%A8%EB%A7%81%ED%81%AC
  15. How does BMW Remote 3D View work?,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faq.bmwusa.com/s/article/My-BMW-App-Remote-3D-View-Operating-principle-jPtoU?
  16.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리뷰, 스마트폰 앱으로 GV70 제어하기(Genesis Connected Services Review) - 2021.03.12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youtube.com/watch?v=Bf7o6_b_CAo&pp=ygUNI-2RnOyLnOygleuztA%3D%3D
  17. CAN 통신 기반 커넥티드 카 침해 위협 및 대응방안 연구 - 이글루코퍼레이션,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igloo.co.kr/security-information/can-%ED%86%B5%EC%8B%A0-%EA%B8%B0%EB%B0%98-%EC%BB%A4%EB%84%A5%ED%8B%B0%EB%93%9C-%EC%B9%B4-%EC%B9%A8%ED%95%B4-%EC%9C%84%ED%98%91-%EB%B0%8F-%EB%8C%80%EC%9D%91%EB%B0%A9%EC%95%88-%EC%97%B0%EA%B5%AC/
  18. "스마트폰도 안 터지는 5G, 커넥티드카 전용요금?" 운전자들 갑론을박 - 비즈한국,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bizhankook.com/bk/articlePrint/25546
  19. 자동차를 태블릿처럼…통신사, BMW 전용 e심요금제 선봬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0937
  20. BMW eSIM 베이직 < 상품원장 < 상품 < T world,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tworld.co.kr/product/callplan?prod_id=NA00008066
  21. BMW eSIM프리미엄 < 상품원장 < 상품 < T world,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m.tworld.co.kr/product/callplan?prod_id=NA00008209
  22. 통신3사, BMW와 차량 전용 e심요금제 출시 - LG,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lg.co.kr/media/release/26227
  23.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란?: 현재와 미래 - Health and Security - 티스토리,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healthierusd.tistory.com/67
  24. 커넥티드 카 기술 : V2X(Vehicle to Everything) - 1. Overview - Health and Security - 티스토리,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healthierusd.tistory.com/9
  25. 커넥티드 카와 외부 시스템 통신 프로토콜 - velog,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velog.io/@yeop2/%EC%BB%A4%EB%84%A5%ED%8B%B0%EB%93%9C-%EC%B9%B4%EC%99%80-%EC%99%B8%EB%B6%80-%EC%8B%9C%EC%8A%A4%ED%85%9C-%ED%86%B5%EC%8B%A0-%ED%94%84%EB%A1%9C%ED%86%A0%EC%BD%9C
  26. 스마트 디바이스가 된 자동차,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hyundai.co.kr/innovation/CONT0000000000005032
  27. 커넥티드 카 뜻…자동차에서 날씨ㆍ교통정보 실시간으로 받아 본다 -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itskorea.kr/boardDetail.do?type=8&idx=3500&searchType=&searchText=
  28. Samsung Find | 앱&서비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samsung.com/sec/apps/samsung-find/
  29. 커넥티드 카 | 키사이트 - Keysight,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keysight.com/kr/ko/solutions/connected-car.html
  30. 스타링크 - 나무위키,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8A%A4%ED%83%80%EB%A7%81%ED%81%AC
  31. “이동 차량에서도 위성 인터넷에 접속”, '스타링크 모빌리티' 출시 - 테크튜브,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techtub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82
  32. [브리핑] 위성인터넷 Starlink, 이동 중인 차량에서 이용 가능한 신규 안테나 발표,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www.arg.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726
  33.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움직이는 자동차에도 제공될까 - 지디넷코리아,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10309111304
  34. 스타링크 인터넷, 내년 한국 상륙하나… 정부 행정예고 - 조선일보,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10/15/T3GYHFG22RCZ5EVHSOQEQ5BHHA/
  35. '스타링크·원웹' 한국 상륙…저궤도 위성통신, 도대체 뭐가 다를까?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T93IMPD5B-Q
  36. 더욱 완벽한 커넥티드 서비스, 인포콘 - KG 모빌리티 공식블로그 ALLWAYS,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allways.kg-mobility.com/%EC%BB%A4%EB%84%A5%ED%8B%B0%EB%93%9C-%EC%B9%B4/
  37. 블루링크 서비스 소개 - 블루링크 | 현대자동차 - 현대닷컴 | 대한민국 대표 자동차회사 hyundai.com,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hyundai.com/kr/ko/customer-service/bluelink/bluelink-information/characteristics.html
  38. 자동차 장기 주차 시 배터리 방전 방지 요령 (트렁크에 배터리가 있는 타입)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hWjBjqx-onM&pp=0gcJCfwAo7VqN5tD
  39. 자동차 배터리 방전 '핵꿀템' 이거 하나면 끝~! / HOW TO TAKE CHARGE OF CAR BATTERY [ 차업차득 ]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FYBc3w8LH_w
  40. 제네시스 G80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요금 가입 방법 멜론 지니 뮤직 - YouTube, 8월 1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IVp3sGTPk7E
No comments to sh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