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화상에 대한 버터 및 마요네즈 도포: 해로운 서양 민간요법에 대한 의학적·역사적 분석
제1장: 서론
1.1. 민간 지혜와 근거 기반 화상 치료의 이분법
화상 관리에 있어 전통적이지만 해로운 민간요법의 지속성과 현대의 근거 기반 의료 프로토콜 사이에는 뚜렷한 충돌이 존재합니다.1 화상에 버터나 마요네즈를 바르는 행위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심각한 부정적 임상 결과를 초래하는 관행입니다.4 본 보고서는 이러한 민간요법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그 위험성을 명확히 규명하고자 합니다.
1.2. 보고서의 목적 및 구조
본 보고서의 목적은 화상에 유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명확하고 다각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역사적 기원, 상세한 병태생리학적 및 미생물학적 위험, 그로 인한 임상적 문제, 신화의 심리적 기반, 그리고 올바른 근거 기반 응급처치법을 순차적으로 다룰 것입니다.
제2장: 역사적 선례와 의학적 신화의 성문화
2.1. 고대의 토대: 초기 상처 치료에서의 지방 및 기름 사용
상처에 기름진 물질을 사용하는 관행은 깊은 역사적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대 기록을 보면 동물성 제품이 국소 화상 치료의 주요 원료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7 기원전 1500년경의 이집트 에베르스 파피루스와 에드윈 스미스 파피루스에는 지방, 꿀, 심지어 기름에 데운 개구리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7
기원전 430년경 히포크라테스는 화상 흉터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신선한 돼지 지방에 솔껍질과 올리브유를 섞어 사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록했습니다.7 로마와 그리스의 의사들 또한 돼지를 가공한 지방, 수지, 올리브유를 사용했는데, 이는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치유를 촉진한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8 이러한 관행은 지방이 보호막을 형성하여 수분을 유지해준다는 경험적 관찰에 기반한 것이었습니다. 이는 현대의 폐쇄 드레싱 개념을 어설프게 모방한 것이지만, 열역학이나 미생물학에 대한 이해는 전무했습니다.9
2.2. 19세기의 촉매제: 야전 의술로서의 성문화
버터를 화상에 바르는 관행이 일반적인 민간요법을 넘어 준공식적인 의학적 권고로 격상된 결정적인 역사적 계기가 있습니다. 이 관행은 19세기 프로이센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군의관 총감이었던 프리드리히 폰 에스마르히(Friedrich Von Esmarch)가 이를 야전 의술로 권장했습니다.10
당시의 전쟁 핸드북에 명시된 이론적 근거는 버터를 바르면 "상처를 공기로부터 밀폐시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10 이는 직관적이지만 결함이 있는 아이디어가 권위 있는 맥락 안에서 과학적으로 보이는 정당성을 부여받은 중요한 순간이었습니다. 고대 실무자들이 지방을 진정 및 보습 효과 때문에 사용했던 것과 달리, 폰 에스마르히의 권고는 상처를 '공기'로부터 '밀폐'하는 것이 보호적이라고 생각했던, 세균 이론 이전의 초기 상처 관리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었습니다. 이 유사과학적 정당성은 권위 있는 인물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해당 신화에 새로운 차원의 신뢰성과 지속성을 부여하여 20세기와 21세기까지 이어지게 만든 강력한 동력이 되었습니다.
제3장: 열손상의 병태생리학과 폐쇄성 민간요법의 해로운 효과
3.1. 화상 손상의 세포 연쇄 반응
이상의 열에 노출되면 점진적인 조직 손상이 발생합니다.12 화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될 수 있는 역동적인 상처이며, 이러한 현상을 '전환(conversion)' 또는 2차 심화라고 합니다.12 응급처치의 주된 목표는 진행 중인 세포 손상을 막기 위해 이 열을 즉시 발산시키는 것입니다.12 표준 치료법은 흐르는 수돗물로 10분에서 20분간 충분히 냉각시키는 것입니다.12
3.2. 폐쇄 효과: 열을 가두어 손상을 악화시킴
'화상에 버터'라는 신화의 근본적인 오류는 열역학과 화상 병태생리학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에서 비롯됩니다. 민간 지혜는 화상을 정적인 사건으로 취급하여, 주된 필요를 상처를 '진정'시키거나 '덮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화상은 지속적인 열 손상의 역동적인 과정입니다. 버터, 마요네즈 및 기타 기름진 물질은 불투과성 장벽을 형성하는 폐쇄성 물질입니다.16 이 장벽은 단열재 역할을 하여 피부 내에 잔류열을 가두고 환경으로의 방출을 막습니다.4
열 방출을 늦춤으로써, 기름진 물질은 세포 수준에서 연소 과정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래보다 더 많은 손상을 유발합니다.13 이렇게 갇힌 열은 화상의 심각도를 진행시켜, 예를 들어 표재성 1도 화상을 더 심각한 부분층 2도 화상으로 전환시킬 수 있습니다.18 이는 민간요법의 의도된 목적과 정면으로 배치되며 적극적으로 해를 끼치는 행위입니다. 즉, 버터를 바르는 것은 중립적인 행위가 아니라,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단계인 열 제거를 방해하여 손상의 진행을 직접적으로 촉진하는 적극적인 개입입니다. 환자는 사실상 자신의 조직을 서서히 익히는 것과 같습니다.
3.3. 상처 미세환경의 교란
열을 가두는 것 외에도, 폐쇄성 식품 기반 물질의 적용은 피부의 생리적 상태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킵니다. 폐쇄는 피부의 pH, 수분 함량, 표피 교체율 등을 변화시켜 미세환경을 심대하게 바꿉니다.16 멸균 드레싱을 이용한 치료적 폐쇄는 습윤한 치유 환경을 조성할 수 있지만 20, 비멸균의 비통기성 지방층을 적용하면 세균 증식에 이상적인 따뜻하고 습하며 혐기성인 환경이 조성됩니다.4
제4장: 비멸균 식품을 화상에 적용할 때의 미생물학적 위험
4.1. 손상된 장벽: 이상적인 배양 배지로서의 화상 상처
화상은 미생물 침입에 대한 피부의 주요 물리적 장벽인 각질층(stratum corneum)을 파괴합니다.16 이로 인해 영양이 풍부한 진피 하층이 노출되어 세균 군집화 및 감염에 완벽한 환경이 조성됩니다.1 버터나 마요네즈를 바르는 행위는 멸균된 열 손상을 다균성 파종 사건으로 전환시킵니다.
4.2. 버터와 마요네즈의 병원균 프로필
버터나 마요네즈와 같은 비멸균 식품을 적용하는 것은 상처에 직접적으로 위험한 병원균을 접종하는 행위입니다.
- 버터 (유제품): 버터는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4 유제품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의 알려진 매개체입니다. 이 세균은 냉장 상태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며, 특히 면역 저하자에게 심각한 전신 질환(리스테리아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2
- 마요네즈 (날달걀 또는 저온 살균 달걀 함유): 가정에서 만든 마요네즈의 주요 성분인 날달걀 흰자를 바르면 살모넬라균(Salmonella) 오염의 심각한 위험이 따릅니다.18 열린 상처에
살모넬라균을 적용하면 심각한 국소 감염, 전신 감염(패혈증),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18 시판 마요네즈는 저온 살균될 수 있지만, 민간요법은 종종 기본적인 주방 재료 사용을 의미합니다.
- 일반 오염: 모든 비멸균 식품은 상처에 다양한 일반 피부 및 환경 세균(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대장균(E. coli) 등)을 유입시킬 수 있습니다.24
3장에서 설명한 폐쇄 효과와 4장의 미생물학적 위험은 시너지 효과를 내며 위험을 가중시킵니다. 지방층은 열을 가두어 화상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자신이 유입시킨 바로 그 박테리아를 위한 완벽한 혐기성, 단열 배양기를 만들어냅니다. 이는 신체의 손상된 국소 면역 반응이 감당할 수 없는 심각한 감염 가능성을 극적으로 높입니다.
| 오염원 (Contaminant) | 관련 병원균 (Associated Pathogen(s)) | 출처/매개체 (Source/Vector) | 화상 상처에서의 잠재적 임상 후유증 (Potential Clinical Sequelae) |
|---|
| 버터 (Butter)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Listeria monocytogenes) | 유제품 (Dairy) | 국소 감염, 봉와직염, 패혈증 |
| 마요네즈/날달걀 (Mayonnaise/Raw Eggs) | 살모넬라 엔테리카 (Salmonella enterica) | 저온 살균되지 않은 달걀 (Unpasteurized Eggs) | 심각한 국소 감염, 전신 감염(패혈증), 교차 오염 시 위장염 |
4.3. 오염에서 패혈증으로의 임상적 진행
이러한 병원균이 (폐쇄성 지방층에 의해 악화된) 화상 상처의 따뜻하고 습하며 영양이 풍부한 환경에 유입되면 빠른 세균 증식을 촉진합니다.4 이는 단순한 상처 오염에서 국소 감염, 봉와직염(주변 피부 감염), 그리고 궁극적으로 균혈증(혈류 내 세균)과 패혈증(생명을 위협하는 전신 염증 반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18
제5장: 오염된 화상 손상의 평가 및 관리에서의 임상적 문제
5.1. 불분명한 임상 평가
두껍고 불투명한 버터나 마요네즈 층은 상처를 물리적으로 가려 의사가 화상의 깊이, 크기, 특징(예: 색상, 수포 유무, 모세혈관 재충혈)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28 이 초기 평가는 올바른 치료 과정(예: 외래 치료 대 전문 화상 병동 입원)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6, 이 평가가 지연되면 적절한 치료 또한 지연됩니다.
5.2. 상처 변연절제술 및 세척의 복잡성
적절한 치료를 적용하기 전에 오염 물질을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32 통증이 심하고 민감한 화상 상처에서 기름지고 부착성 있는 물질을 세척하는 것은 환자에게 어렵고 고통스러운 과정입니다.32 이 세척 과정은 추가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상처 가장자리의 생존 가능한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더 공격적인 기계적 변연절제술을 필요로 할 수 있어 치유를 더욱 저해할 수 있습니다.29 또한, 기름진 물질의 존재는 현대적인 국소 치료제 및 드레싱의 부착과 효능을 방해합니다.28
결론적으로, 이러한 민간요법의 적용은 치료에 대한 직접적인 의원성 장벽을 만듭니다. 화상을 '치료'하려는 행위는 임상의가 평가와 실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기준 상태로 상처를 되돌리기 위해 고통스럽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2차 시술(공격적인 세척)을 수행하도록 강요합니다. 이는 환자가 초기 화상으로 한 번, 그리고 부적절한 '응급처치'의 결과로 또 한 번 고통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6장: 의학적 신화의 지속성: 인지적 및 문화적 분석
6.1. 민간 지혜의 심리학
민간요법, 즉 '오래된 아내들의 이야기'는 모든 인구 집단에 널리 퍼져 있는 의학적 민간 지혜(Medical Folk Wisdom, MFW)의 한 형태입니다.3 이러한 요법의 지속성은 인지 편향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화상의 갑작스럽고 고통스러운 특성은 공식적인 응급처치 훈련을 회상하는 데 필요한 신중한 '느린 사고'보다는 직관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인 '빠른 사고'를 촉발합니다.34 사람들은 근거 기반 의학적 의사 결정 이전에 지배적이었던 "항상 그렇게 해왔다"와 같은 뿌리 깊은 문화적 각본과 휴리스틱에 의존하게 됩니다.34 기름진 물질이 '진정 효과가 있다'는 믿음은 직관적이지만 잘못된 가정입니다.4
6.2. 문화적 전승과 과학적 전문성에 대한 도전
MFW는 가족과 공동체를 통해 전승되어, 추상적인 의학적 조언보다 더 즉각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강력하고 신뢰받는 사회적 유산을 갖게 됩니다.35 MFW에 대한 지지는 의학적 전문성에 대한 가치 평가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3 "우리 할머니는 항상 이렇게 하셨는데 효과가 있었다"와 같은 개인적인 일화는 과학적 데이터보다 더 설득력 있게 느껴질 수 있으며, 특히 데이터가 오랜 믿음과 모순될 때 더욱 그렇습니다.
이러한 민간요법의 실패는 종종 요법 자체의 탓으로 돌려지지 않습니다. 버터로 치료한 화상이 감염되거나 흉터가 심하게 남으면, 그 결과는 해로운 '치료'가 아닌 초기 화상의 심각성 탓으로 돌려져 강력한 확증 편향의 고리를 만듭니다. '화상에 버터' 신화는 단순한 잘못된 정보가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의 심리적 매력 덕분에 살아남은 회복력 있는 문화적 산물입니다. 이는 누군가 고통스러워할 때 즉각적이고 가시적인 조치를 제공하여, 돌보는 사람의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강력한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킵니다. 즉각적인 조치에 대한 이러한 필요성과 요법의 단순성, 재료의 가용성이 결합되어, 더 신중하고 덜 직관적인 올바른 의학적 조언(흐르는 시원한 물에 20분간 대고 있기)을 쉽게 이기는 매우 '끈끈한' MFW가 됩니다.
제7장: 결론 및 권장사항: 현대 화상 응급처치를 위한 근거 기반 프로토콜
7.1. 연구 결과 종합
본 보고서의 분석을 종합하면, 화상에 버터나 마요네즈를 사용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뿌리 깊지만 의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관행임이 명백합니다. 그 위험성은 여러 요인이 시너지 효과를 내며 발생합니다. 폐쇄 효과는 열 손상을 악화시키고, 비멸균성은 위험한 병원균을 유입시키며, 물질의 물리적 존재는 적절한 의학적 평가와 치료를 방해합니다.
7.2. 경미한 열화상에 대한 명확한 응급처치 프로토콜
신화에 대한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서, 현대 의학적 합의에 기반한 응급처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소 과정 중단: 즉시 화상 부위를 시원한(차갑거나 얼음물이 아닌) 흐르는 물에 최소 10-20분 동안 냉각시킵니다.12
- 제한적인 물품 제거: 부종이 시작되기 전에 해당 부위의 장신구나 꽉 끼는 의복을 부드럽게 제거합니다.38
- 화상 부위 덮기: 냉각 후, 멸균된 비접착성 드레싱이나 깨끗한 랩으로 화상 부위를 느슨하게 덮습니다.14 솜털이 있는 면이나 상처에 달라붙을 수 있는 접착 붕대는 사용하지 않습니다.4
- 적용 금지: 지방, 기름, 버터, 마요네즈, 치약, 얼음 또는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을 절대 적용하지 않습니다.4
- 의료기관 방문: 화상이 수 인치보다 크거나, 얼굴, 손, 발, 생식기에 발생했거나, 심부 부분층 또는 전층 손상의 징후를 보이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습니다.6
| 개입 (Intervention) | 조치 (Action) | 인식된 (민간) 이론적 근거 (Perceived Rationale) | 과학적/의학적 결과 (Scientific/Medical Outcome) | 권장사항 (Recommendation) |
|---|
| 버터/마요네즈 | 화상 부위에 기름진 물질을 바름 | 진정, 밀폐, 감염 예방 | 열을 가두어 화상을 악화시키고, 세균을 유입하며, 평가 및 치료를 방해함 | 절대 금지 |
| 얼음 | 화상 부위에 직접 얼음을 댐 | 빠른 냉각, 통증 완화 | 혈류를 감소시켜 치유를 방해하고, 동상 및 추가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음 | 절대 금지 |
| 치약 | 화상 부위에 치약을 바름 | 냉각 효과, 통증 완화 | 통증을 악화시키고, 감염 및 흉터 위험을 증가시키며, 상처를 자극함 | 절대 금지 |
| 시원한 흐르는 물 | 화상 부위를 10-20분간 물에 댐 | 열 제거, 통증 완화 |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하여 추가 조직 손상을 막고,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킴 | 표준 치료법 |
7.3. 공중 보건 교육의 필요성
결론적으로, 해로운 의학적 신화를 해체하고 근거 기반 응급처치 지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공중 보건 캠페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신화가 왜 해로운지(병태생리학 및 미생물학)를 이해시키는 것이 단순한 금지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본 보고서를 마칩니다.
참고 자료
- History of burns: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 PMC - PubMed Central,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978094/
- Review of History of Basic Principles of Burn Wound Management - PubMed,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5334576/
- (PDF) The pervasiveness and policy consequences of medical folk ...,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2610282_The_pervasiveness_and_policy_consequences_of_medical_folk_wisdom_in_the_US
- The best way to treat a burn – and 5 mistakes to avoid | Woman's Hospital of Texas,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omanshospital.com/blog/entry/the-best-way-to-treat-a-burn-and-5-mistakes-to-avoid
- Burns: Symptoms, Degrees, How To Treat & Healing - Cleveland Clinic,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2063-burns
- Preventing and treating home burns | UCI Health | Orange County, CA,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ucihealth.org/blog/2025/02/preventing-treating-home-burns
- Burn Care in the Greek and Roman Antiquity - PMC,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761083/
- Burns treatment in ancient times - PubMed,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3888738/
- The Evolution of Wound Care for Burn Wounds Over Time,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woundpros.com/post/the-evolution-of-wound-care-for-burn-wounds-over-time
- The Do's and Don'ts of Burn Remedies | Saint James School of ...,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sjsm.org/2016/11/dos-donts-burn-remedies/
- sjsm.org,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sjsm.org/2016/11/dos-donts-burn-remedies/#:~:text=DON'T%3A%20Use%20Butter%20or,it%20as%20a%20battlefield%20medicine.
- A general overview of burn care - PMC - PubMed Central,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951672/
- Will Putting Butter on a Burn Ease the Pain? - UAMS Health,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uamshealth.com/medical-myths/will-putting-butter-on-a-burn-ease-the-pain/
- How to treat a first-degree, minor burn -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aad.org/public/everyday-care/injured-skin/burns/treat-minor-burns
- Burns and scalds | NHS inform,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nhsinform.scot/illnesses-and-conditions/injuries/skin-injuries/burns-and-scalds/
- Occlusive therapy in dermatology,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ijdvl.com/occlusive-therapy-in-dermatology/
- Butter for Burns | Think Twice - UT Blogs,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sites.utexas.edu/think-twice/2019/08/20/butter-for-burns/
- Old Wives' Tales - Burnshield,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burnshield.com/old-wives-tales/
- Mayo Clinic Q and A: Treating burns,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newsnetwork.mayoclinic.org/discussion/mayo-clinic-q-and-a-treating-burns/
- Occlusive Dressing and its Role in Wound Care in 2025,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cpraedcourse.com/blog/occlusive-dressing/
- Burns: Classification,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A Review - PubMed,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6835171/
- Listeria infection - Symptoms & causes - Mayo Clinic,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listeria-infection/symptoms-causes/syc-20355269
- Listeria Questions and Answers - USDA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fsis.usda.gov/food-safety/foodborne-illness-and-disease/illnesses-and-pathogens/listeria
- Food Employee Illness Guidelines - Minnesota Department of Health,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health.state.mn.us/people/foodsafety/dwi/eicondguide.pdf
- Foodborne Illness and Disease - USDA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fsis.usda.gov/food-safety/foodborne-illness-and-disease
- Investigation of Listeria, Salmonella, and Toxigenic Escherichia coli in Various Pet Foods,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152787/
- 4 Old Wives' Tale Remedies That Will Make Your Injuries Worse - The Healthy,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healthy.com/first-aid/wives-tale-remedies-make-injuries-worse/
- Is it recommended to apply butter to new burns? - Dr.Oracle,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droracle.ai/articles/225587/putting-butter-on-new-burns
- Wound Assessment - StatPearls - NCBI Bookshelf,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82198/
- Cutaneous chemical burns: assessment and early management - RACGP,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racgp.org.au/afp/2015/march/cutaneous-chemical-burns-assessment-and-early-mana
- Burn Wound Healing: Clinical Complications, Medical Care, Treatment, and Dressing Types: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for Clinical Practice - MDPI,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1660-4601/19/3/1338
- How to Treat a Burn Victims with CPR and First Aid,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mycprcertificationonline.com/blog/how-to-treat-burn-victims-with-cpr-and-first-aid-learning
- Nursing guidelines : Wound assessment and management - The Royal Children's Hospital,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rch.org.au/rchcpg/hospital_clinical_guideline_index/Wound_assessment_and_management/
- Empirical Nursing: The Art of Evidence-Based Care - Emerald ...,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bookstore.emerald.com/media/preview/9781787438149-23-2.pdf
- Black Folk Medicine in Southern Appalachia. - Digital Commons@ETSU,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dc.etsu.edu/cgi/viewcontent.cgi?article=1199&context=etd
- Grandma knows best: - Utrecht University Student Theses Repository Home,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studenttheses.uu.nl/bitstream/handle/20.500.12932/49204/2237199_SoleRodriguez%2CElena_RMAThesis.pdf?sequence=1&isAllowed=y
- Home remedies for burns and scalds - Medical News Today,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319768
- Burns: First aid - Mayo Clinic, 10월 5, 2025에 액세스, https://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urns/basics/art-20056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