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oint by slswlsek 2 months ago | flag | hide | 0 comments
마녀사냥의 역사적 기원과 현대적 변용에 대한 심층 보고서
'마녀사냥(Witch Hunt)'이라는 용어는 원래 15세기에서 18세기까지 유럽과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악마와 계약했다고 의심되는 마녀들을 색출하고 처벌했던 역사적 현상을 지칭합니다.1 이 시기 사람들은 마녀가 초자연적인 힘으로 해악을 끼칠 수 있다고 진심으로 믿었으며, 이는 사회 전반에 깊은 공포를 심어주었습니다.1 그러나 오늘날 이 용어는 그 역사적 맥락을 넘어, 증거가 불충분하거나 부당한 이유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공격, 비난, 처벌하려는 불공정한 시도를 은유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4 이는 종종 집단적 공포나 도덕적 공황, 그리고 복수심에 의해 추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4 현대 사회에서 이 용어는 주로 권력자가 자신에 대한 정당한 조사를 불공정한 공격으로 폄하하거나, 온라인 상의 군중이 특정 인물을 매장하는 행위를 지칭할 때 쓰입니다. 본 보고서는 과거의 마녀사냥 현상을 단순한 역사적 오류가 아닌 복합적인 사회적 현상으로 해부하고, 이 개념이 현대에 어떻게 변모했는지, 그리고 그 변용된 형태들이 본래의 현상과 어떤 본질적 공통점 및 차이점을 가지는지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사회적 불안정성과 집단적 광기가 반복되는 보편적 패턴을 조명하고, 현대적 마녀사냥이 왜 발생하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2.1. 시기와 지역적 분포
역사적 마녀사냥은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 전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했으나, 그 절정은 근대 초기(Early Modern period)라 불리는 1500년에서 1650년 사이였습니다.1 이 약 150년간 약 10만 명의 사람들이 마법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었고, 그중 절반 가량이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당했습니다.1 가장 많은 재판과 처형이 이루어진 곳은 오늘날의 독일, 프랑스, 스위스, 네덜란드 등에 해당하는 신성 로마 제국의 영토였습니다.2 특히 남서부 독일 지역은 1561년부터 1670년 사이에 가장 높은 재판 집중도를 보였습니다.8 반면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등지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마녀 재판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각 지역의 법률 및 사법 시스템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는 배심원 제도를 통해 재판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유지할 수 있었고, 스페인 종교재판소는 마법 행위의 입증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었다고 전해집니다.10 유럽 대륙에서 마녀사냥의 광기가 점차 사그라들던 1692년, 미국 매사추세츠 식민지에서 발생한 세일럼 마녀 재판은 예외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 200명 이상이 고발되고 20명이 처형된 이 사건은 환영 증거(spectral evidence)와 같은 비이성적인 증거가 어떻게 집단적 히스테리를 가속화하고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남아있습니다.10
2.2. 마녀사냥의 심층적 원인
마녀사냥은 단일한 원인으로 발생한 현상이 아니며, 사회경제적, 종교적, 법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습니다.
사회경제적 불안정성
16세기 후반 유럽은 인구 증가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고, 사회 주변부의 빈곤층이 급증하는 시기였습니다.12 이 시기에 발생한 기근, 전염병(흑사병 등), 그리고 소빙하기(little ice age)로 인한 농작물 피해는 사람들이 불행의 원인을 초자연적인 힘에서 찾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3 과학적 지식이 부족했던 당대의 사람들은 이러한 재앙을 악마의 음모나 마녀의 악행( maleficium) 탓으로 돌리려 했습니다.11 연구자 앨런 맥팔레인(Alan Macfarlane)과 키스 토마스(Keith Thomas)는 경제난으로 인해 마을 사람들이 이웃에게 자선을 베풀기 꺼려하게 되자, 도움을 거절당한 빈곤한 여성들이 저주를 퍼붓는 일이 잦아졌고, 이후 불운이 닥치면 그 여성들을 마녀로 지목하는 패턴이 형성되었다고 분석했습니다.12 이는 마녀사냥이 단순히 초자연적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긴장과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희생양 찾기의 일환이었음을 시사합니다.
종교적 혼란과 이단 박해
중세 가톨릭 교회는 자연 마법과 악마 마법을 구분하여, 신이 부여한 자연의 힘을 이용하는 마법은 용인했습니다.13 그러나 14-15세기를 거치며 마법은 사탄 숭배(devil worship) 및 이단(heresy)과 동일시되는 급진적인 변화를 겪게 됩니다.10 특히 종교개혁(Reformation)과 반종교개혁(Counter-Reformation) 시기의 종교적 갈등은 사회 전반의 불안과 공포를 증폭시켰고, 지식인 엘리트들 사이에서 악마의 세력이 문명을 전복하려 한다는 불안감이 확산되었습니다.1 마녀들은 사탄을 위해 일하는 대리인으로 여겨졌고, 이들을 박해하는 것은 곧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는 행위로 간주되었습니다.2 이러한 종교적 관점은 Malleus Maleficarum(마녀의 망치)와 같은 저작물을 통해 체계화되어 마녀사냥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했습니다.2 이 책은 마녀의 존재를 논리적으로 입증하고, 여성들이 악마의 유혹에 취약하다는 편견을 조장하며, 마녀 사냥을 위한 실용적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마녀 재판의 광기를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15
법률 및 사법 시스템의 변화
마녀사냥은 당시의 법적 시스템 변화를 통해 가속화되었습니다. 14세기 교황 요한 22세는 이단적 사실(heretical fact)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이단을 지적 범죄가 아닌 실제 행위로 간주하도록 했습니다.10 이는 마녀를 처벌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또한, 고문(torture)을 통한 자백 강요가 합법화되면서 무고한 사람들의 강제적 자백과 공범 명단 확보가 용이해졌습니다.16 특히 1468년 교황이 마녀 재판을 특별 범죄(crimen exceptum)로 선언하면서 고문 적용에 대한 법적 제한이 사실상 사라졌습니다.16 이로 인해 한 명의 고발로 시작된 재판은 고문을 통한 강제 자백으로 인해 수많은 공범을 만들어내는 연쇄 반응(wider social panic)을 일으켰습니다. 세일럼 마녀 재판에서 사용된 환영 증거(spectral evidence)는 마녀사냥의 광기를 가속화한 또 다른 결정적 요인이었습니다.10 유령이나 환영이 피고인의 모습으로 나타났다는 증언만으로 유죄를 입증할 수 있게 되면서, 피고인은 증거를 반박할 수 없었고 무죄로 풀려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었습니다.11 이러한 비이성적인 법적 절차는 마녀사냥의 광기를 더욱 부추겼습니다. 심층 분석: 마녀사냥은 사회 시스템의 ‘자력구제’ 과정이었다. 역사적 마녀사냥은 단순히 미신에 의한 광기로 치부할 수 없는 복합적인 현상이었습니다. 연구 자료들은 기근, 전염병, 경제난 등 당대 사람들이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불안정성에 시달렸음을 보여줍니다.1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사람들은 불행의 원인을 마녀의 악행 탓으로 돌림으로써, 공동체는 불확실성에 대한 명확한 원인과 해결책을 찾게 되었습니다.13 마녀를 찾아내 처벌하면 재앙이 멈출 것이라는 믿음이 형성된 것입니다. 이는 극심한 사회적 위기 속에서 집단적 불안을 해소하고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적 시스템이 작동했음을 의미합니다. 마녀사냥은 개개인의 불신이나 감정을 해소하는 장이었을 뿐만 아니라(air grievances 3), 당시의 종교적, 법적 권위가 자신들의 통제력을 재확인하고, 사회 질서를 재편하는 과정이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역사적 마녀사냥은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공동체의 불안을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해소하려 했던 사회 시스템의 한 단면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마녀사냥의 은유는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크게 정치적 마녀사냥, 온라인 마녀사냥, 그리고 한국 고유의 '고로시' 문화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3.1. 정치적 마녀사냥
정치적 마녀사냥은 특정 정치적 목적을 위해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처벌하려는 부당하고 선정적인 공격을 의미합니다.6 이는 종종 공포(fear)와 편협함(narrow-mindedness)을 조장하며, 증거가 불충분하거나 관련이 없을 때도 이루어집니다.17 흥미롭게도 현대에 와서 이 용어는 주로 권력을 가진 사람(the powerful)이 자신에 대한 정당한 조사를 불공정한 공격이라고 주장하며 면피하려 할 때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18 사례 연구: 매카시즘(McCarthyism) 1950년대 미국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주도한 공산주의자 색출 운동이 대표적인 정치적 마녀사냥 사례입니다.19 당시 매카시 의원은 정부 기관 및 군대에 공산주의자 스파이가 침투했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거의 증거가 없는 상태에서 공개적으로 많은 사람들을 비난했습니다.19 이로 인해 수천 명이 직업을 잃거나 블랙리스트에 오르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습니다.20 매카시즘은 국가 안보라는 명분 아래, 정당한 법적 절차(due process)와 시민의 자유(civil liberties)를 무시하고 진행된 정치적 공포 조장(political fear-mongering)의 전형입니다.19 이는 권력자가 공포를 이용해 사회를 통제하려 했던 역사적 마녀사냥의 정치적 변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3.2. 디지털 시대의 마녀사냥: 온라인 마녀사냥과 캔슬 컬처
온라인 마녀사냥은 인터넷을 통해 개인을 집단적으로 공격하고 신상을 공개하며(doxxing), 사회적으로 매장하려는 행위입니다.21 이러한 현상 중 하나인 캔슬 컬처(Cancel Culture)는 부적절한 언행을 한 사람에 대해 지지를 철회하고 보이콧하며 사회적·직업적 관계에서 배제하는 문화 현상을 의미합니다.24 캔슬 컬처는 양면성을 가집니다. 한편으로는 권력을 가진 이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부과(foster accountability)하고, 과거 간과되었던 사회적 이슈들(성차별, 인종차별 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순기능을 가집니다.24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경미한 실수에 대해 비례성을 상실한 가혹한 처벌로 이어지고, 군중 심리(mob mentality)와 온라인 조리돌림(online shaming)의 형태로 변질될 수 있습니다.21 온라인 마녀사냥은 군중 심리(herd mentality)와 도덕적 분노(moral outrage)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27 사람들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다수의 의견을 따르려는 경향이 있고( conformity), 집단 내 소속감(sense of belonging)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려 합니다.27 도덕적 분노는 정의를 회복하려는 친사회적 감정으로 보이지만, 동시에 개인의 죄책감을 해소하거나 자신의 도덕적 우월성을 과시하는 방어적 기제로 작용하기도 합니다.30 이러한 심리적 기제는 정의를 실현한다는 명분 아래, 개인의 주관적인 도덕적 기준이나 집단의 규범에 어긋난다는 이유만으로 도덕적 단죄가 이루어지는 결과를 낳습니다.30
3.3. 한국 사회의 독특한 양상: '고로시' 문화
'고로시'는 일본어 코로시(殺し, 죽임)에서 유래한 인터넷 용어로 32, 본래는 디시인사이드와 같은 남초 커뮤니티에서 '씹덕(오타쿠) 문화'와 같이 소수 집단 내에서만 통용되던 취향을 대중에게 공개적으로 노출시켜 조롱하고 망신을 주는 행위를 의미했습니다.32 이후 '고로시'라는 표현은 멍청하고 이상한 행동이나 낮은 품질의 창작물 등, 비주류적인 모든 것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매장하는 행위로 의미가 확장되었습니다.32 이는 단순한 비판을 넘어, 특정 대상을 집요하게 괴롭혀 매장시키는 형태를 띨 때가 많습니다.32 최근 김포시 공무원 사망 사건과 같은 악성 민원은 온라인 신상털기(doxxing)가 현실의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비극적인 고로시의 사례입니다.34 심층 분석: 현대적 마녀사냥의 본질은 ‘도덕적 분노’를 ‘정의’로 착각하는 데 있다. 온라인 마녀사냥의 동기는 사회 정의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24 가해자들은 도덕적 분노를 통해 피해자를 대신해 정의를 실현한다고 믿고, 이 과정에서 자기-개선적(self-improving) 감정을 느끼기도 합니다.29 그러나 도덕적 분노는 객관적인 사실 확인(fact-checking)보다 내 집단(in-group)의 가치관을 따르는 경향이 강합니다.29 따라서 개인의 주관적인 도덕적 기준이나 집단의 규범에 어긋난다는 이유만으로 도덕적 단죄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31 이로 인해 경미한 실수에 대한 처벌이 사회적·직업적 매장이라는 비례적이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1 이러한 현상은 정의 실현이라는 명분 뒤에 숨은 개인의 죄책감 해소나 도덕적 우월감 과시와 같은 심리적 기제가 작용한 결과로 해석됩니다.30
4.1. 공통점: 집단적 공포와 희생양
과거와 현재의 마녀사냥은 본질적으로 여러 공통점을 공유합니다. 첫째, 두 현상 모두 불안정성 속에서 발생했습니다. 과거에는 기근, 질병, 종교적 혼란이 원인이었다면 12, 오늘날은 정치적, 사회경제적 위기나 급격한 문화적 변화가 그 역할을 대신합니다.14 둘째, 이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이질적인 타자를 희생양(scapegoat)으로 삼아 비난하는 패턴이 반복됩니다.13 셋째, 두 현상 모두 불확실한 증거에 의존합니다. 과거에는 환영 증거나 고문에 의해 얻어진 자백이 증거로 사용되었듯 11, 현대의 마녀사냥 역시 정황 증거나 소문, 일방적인 주장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25
4.2. 차이점: 도구, 속도, 권력의 주체
과거와 현재의 마녀사냥은 그 작동 방식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첫째, 도구와 전파 속도의 차이입니다. 과거에는 법률 문서, 악마학 소책자(Malleus Maleficarum) 등 활자 매체를 통해 지식이 확산되었으며, 재판 절차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느린 과정이었습니다.15 반면, 소셜 미디어, 해시태그, 바이럴 콘텐츠와 같은 디지털 도구들은 정보의 전파 속도를 폭발적으로 가속화했습니다.21 좌표 찍기나 신상털기(doxxing)와 같은 행위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단 하루 만에 한 사람의 인생을 파괴할 수 있는 위력을 가집니다.21 둘째, 권력의 주체가 달라졌습니다. 과거의 마녀사냥은 국가, 교회 등 중앙집권화된 권력 기관이 법적, 종교적 권위를 이용해 주도했습니다.10 이는 권력이 위에서 아래로 통제되는 사회 구조를 반영합니다. 반면, 온라인 마녀사냥의 주체는 특정 권력 기관이 아니라 분산된 익명의 대중(online mobs)입니다.21 권력의 무게중심이 소수 엘리트에서 다수 대중으로 이동한 것입니다. 이는 죄를 묻는 주체가 법적 근거가 아닌 집단적 감정에 기반하여 행동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위험을 내포합니다.21 심층 분석: 마녀사냥은 권력의 이동을 보여주는 거울이다. 역사적 마녀사냥은 중앙집권적 권위를 가진 국가와 종교가 사회 질서 유지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주도했습니다.3 이는 권력이 위에서 아래로 통제되는 사회 구조를 반영합니다. 한편, 매카시즘의 사례에서 보듯, 권력자가 자신에 대한 정당한 비판을 마녀사냥으로 규정하는 것은 이 용어의 본래 의미를 전유(appropriation)하는 행위입니다.18 이는 희생자의 언어를 가해자가 사용함으로써, 진정한 마녀사냥이 여전히 힘없는 소수자에게 행해지고 있음을 은폐하는 결과를 낳습니다.18 온라인 마녀사냥은 군중이 도덕적 정의라는 명분 아래 힘없는 개인은 물론 권력 있는 유명인까지 공격할 수 있는 하향식(bottom-up) 권력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24 이는 과거 정부/교회 vs 개인의 구도에서 군중 vs 개인/조직의 구도로 권력의 축이 바뀌었음을 시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녀사냥이 궁극적으로 힘없는 개인을 공격하는 형태로 끝나는 점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는 권력의 분산이 정의로운 사회를 담보하지 않으며, 오히려 군중이라는 새로운 권력이 무자비한 재판관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마녀사냥은 단순한 역사적 오점이 아니라, 사회적 불안정성과 집단적 공포가 만연할 때 희생양을 통해 책임 소재를 전가하려는 인간 사회의 보편적 병리 현상입니다.13 과거에는 종교와 법이 그 기제를 제공했다면, 현대에는 소셜 미디어와 정치적 선동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마녀사냥은 시대와 기술에 따라 그 형태와 속도를 달리했지만, 불확실성과 두려움 속에서 외부의 적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집단적 결속을 다지려는 인간 심리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마녀사냥의 파괴적 결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개인적 차원: 군중 심리(herd mentality)와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사실을 다각도로 검증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27 온라인 상의 주장에 대해 무작정 동조하기보다, 출처를 확인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적 차원: 처벌보다 교정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를 우선시하는 문화를 조성해야 합니다.21 실수에 대해 무조건적인 배제보다는, 대화와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길입니다.21 법적 차원: 신상털기(doxxing)와 사이버 폭력에 대한 강력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여, 온라인 상의 무분별한 마녀사냥이 현실의 심각한 피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예방해야 합니다.23 궁극적으로 마녀사냥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직면한 사회적 갈등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는 과거의 비극을 반복하지 않기 위한 지속적인 사회적, 개인적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참고 자료 Magic and Witchcraft in Early Modern Europe - Digital Collections for the Classroom,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dcc.newberry.org/?p=14415 Witch-Hunts and Witch Trials | Research Starters - EBSCO,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history/witch-hunts-and-witch-trials Early Modern witch trials - The National Archives,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nationalarchives.gov.uk/education/resources/early-modern-witch-trials/ en.wikipedia.org,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Witch_hunt#:~:text=In%20contemporary%20English%2C%20%22witch%2D,as%20well%20as%20mass%20hysteria. Witch hunt - Wikipedia,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Witch_hunt Understanding the Phrase "Witch Hunt" - YouTube,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Xqh2IpL0ql0 Looking at Underlying Reasons for Infamous Witch Hunts - CSUSM NewsCenter,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news.csusm.edu/infamous-witch-hunts/ www.law.berkeley.edu,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berkeley.edu/research/the-robbins-collection/exhibitions/witch-trials-in-early-modern-europe-and-new-england/#:~:text=Witch%20Hunts%20in%20Early%20Modern%20Europe&text=Witch%20hunts%20were%20seen%20across,the%20years%201561%20to%201670. A Timeline of Witch Hunts in Europe - ThoughtCo,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thoughtco.com/european-witch-hunts-timeline-3530786 Witch Trials in Early Modern Europe and New England - UC Berkeley Law,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berkeley.edu/research/the-robbins-collection/exhibitions/witch-trials-in-early-modern-europe-and-new-england/ A True Legal Horror Story: The Laws Leading to the Salem Witch Trials - NEL,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nesl.edu/blog/detail/a-true-legal-horror-story-the-laws-leading-to-the-salem-witch-trials social and economic reasons for witchcraft Flashcards - Quizlet,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quizlet.com/gb/993666635/social-and-economic-reasons-for-witchcraft-flash-cards/ Statewide Dual Credit World History, The Making of Early Modern World 1450-1700 CE, Chapter 5: Europe, Witch Hunts | OER Commons,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oercommons.org/courseware/lesson/87864/student/?section=3 What Caused the Salem Witch Trials? - JSTOR Daily,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daily.jstor.org/caused-salem-witch-trials/ From Malleus Maleficarum to witches' tales. Read. BeBrave.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Navarra.,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en.unav.edu/web/bebrave/leer-malleus-maleficarum Witch trials in the early modern period - Wikipedia,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Witch_trials_in_the_early_modern_period WITCH-HUNT definition in American English - Collins Dictionary,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collinsdictionary.com/us/dictionary/english/witch-hunt Hocus Pocus: Modern-Day Manifestations of Witch Hunts - Scholarly Commons,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cholarlycommons.law.northwestern.edu/context/njlsp/article/1243/viewcontent/JLSP_Sherwin_HocusPocus.pdf McCarthyism | Red Scare | The First Amendment Encyclopedia - Free Speech Center,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firstamendment.mtsu.edu/article/mccarthyism/ Joseph McCarthy and Irresponsibility Narrative - Bill of Rights Institute,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billofrightsinstitute.org/activities/joseph-mccarthy-and-irresponsibility-narrative Tackling Cancel Culture Through Our Modern Witch Trials Campaign,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cybersmile.org/2024/02/05/tackling-cancel-culture-through-our-modern-witch-trials-campaign/ Online shaming - Wikipedia,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Online_shaming Doxxing and Social Media - Tufts University Police Department,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police.tufts.edu/safety/doxxing-and-social-media Cancel culture - Wikipedia,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Cancel_culture Cancel Culture: Collective Justice or Modern-Day Witch Hunt? - V FOR HUMAN,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vforhuman.org/blog/cancel-culture The Psychology of Cancel Culture: Impacts on Mental Health - Therapy Group of DC,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therapygroupdc.com/therapist-dc-blog/the-psychology-of-cancel-culture-impacts-on-mental-health/ How Herd Mentality Explains Our Behavior - Verywell Mind,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verywellmind.com/how-herd-mentality-explains-our-behavior-7487018 What Is Mob Mentality? - WebMD,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webmd.com/mental-health/what-is-a-mob-mentality The Power and Pitfalls of Moral Outrage - Vision.org,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vision.org/power-and-pitfalls-moral-outrage-9446 Moral outrage alleviates guilt and buffers threats to one's moral identity,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classdat.appstate.edu/COB/MGT/VillanPD/OB%20Fall%202021/Unit%201%20-%20Inference/Social%20Perception%20Articles/A%20Cleansing%20Fire-Moral%20outrage%20alleviates%20guilt%20and%20buffers%20threats%20to%20one's%20moral%20identity%20-%20Rotheschild%20&%20Keefer%202017.pdf The complexity of cancel culture: - DiVA Portal,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umu.diva-portal.org/smash/get/diva2:1774245/FULLTEXT01.pdf 고로시 (r18 판) - 나무위키,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A%B3%A0%EB%A1%9C%EC%8B%9C?uuid=563424fb-6ba7-43b5-8058-6b77db4ee866 고로시 (r27 판) - 나무위키,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A%B3%A0%EB%A1%9C%EC%8B%9C?uuid=5d06e516-9106-4f06-aebc-9a7316d902e2 "마녀사냥 인지 못했다"…'악성 민원글'에 뒤늦은 사과 (자막뉴스) / SBS - YouTube,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HIMRqJKzvsg The Dark Side of Cancel Culture: A Modern Witch Hunt | by Zita Luca Csathó | Medium,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zitalucacsatho.medium.com/the-dark-side-of-cancel-culture-a-modern-witch-hunt-1a01e908b7ad "Hocus Pocus: Modern-Day Manifestations of Witch Hunts" by Brie D. Sherwin,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cholarlycommons.law.northwestern.edu/njlsp/vol19/iss1/1/ What is Internet Witch Hunting?, 9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burriep.github.io/CS395-FinalProject/Defi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