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oint by slswlsek 1 month ago | flag | hide | 0 comments
컴퓨터 음악의 탄생: 미디(MIDI) 이전 시대(c. 1948–1983)의 역사적 및 기술적 분석
서론: 디지털 혁명의 숨겨진 서막
컴퓨터 음악의 역사는 단순한 기술 목록이 아니라 인간의 창의성과 초창기 컴퓨팅 분야의 교차점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이 시대는 오늘날 디지털 오디오 환경의 토대를 마련한, 흔히 간과되는 '표준화되지 않은' 결정적인 시기이다. 이 보고서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의 초기 컴퓨팅 연구실에서 우연히 시작된 컴퓨터 음악의 여정을, 미국의 학계 및 기업 연구 센터를 지배했던 고도로 전문화되고 비용이 많이 들며 호환되지 않는 시스템들까지 추적할 것이다. 이 분석은 미디(MIDI)와 같은 보편적 표준이 단순한 바람이 아니라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되게 만든 창의적이고 기술적인 '바벨탑'을 설명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1.1 앨런 튜링과 크리스토퍼 스트래치의 기초 작업
컴퓨터 음악의 역사는 맨체스터 대학에서 시작되었다. 흔히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앨런 튜링은 1940년대 후반에 맨체스터 마크 I 컴퓨터를 음악적 악기로 변모시키는 선구적인 작업을 수행했지만,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간과되어 왔다.1 튜링은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특정 간격으로 클릭 소리를 내도록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식별 가능한 음표를 생성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3 흥미롭게도 튜링은 처음에는 자신의 기계가 음악을 만드는 것에 관심이 없었다.3 대신 그의 동료였던 프로그래머이자 음악가 크리스토퍼 스트래치가 맨체스터 마크 II 컴퓨터 매뉴얼을 접하고 그 기능을 활용하여 영국 국가인 "God Save the Queen"을 연주하도록 프로그래밍했다.3 당시 이는 역사상 가장 긴 컴퓨터 프로그램이었다.3 이 시기의 컴퓨터 음악은 우연한 발견과 선구자들의 작업에서 비롯되었으며,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의제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었다. 튜링의 작업이 "대부분 간과되었다"는 사실은 초기 컴퓨터 음악이 그 자체로 연구 분야가 아니었음을 시사한다.1 이는 훨씬 더 광범위하고 기술적인 컴퓨터 구축 임무의 부산물이었다. 이러한 '우연한 천재성'의 서사는 초기 프로그래머들의 창의적 호기심을 부각시키며, 이 시기를 이후의 상업화된 발전과 차별화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1.2 1951년 BBC 녹음: 가장 오래된 현존 증거
1951년 튜링의 맨체스터 컴퓨팅 기계 연구소에서 BBC가 녹음한 음원은 컴퓨터가 연주한 최초의 알려진 녹음으로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3 이 12인치 싱글사이드 아세테이트 레코드에는 "God Save the King", "Baa, Baa Black Sheep", 그리고 글렌 밀러의 "In the Mood" 세 곡이 담겨 있다.3 이 원본 녹음은 세월이 지나면서 심하게 왜곡되어 거의 알아들을 수 없게 되었지만, 잭 코플랜드와 제이슨 롱 연구팀이 현대적 컴퓨터로 음원을 복원하는 힘든 작업을 거쳤다.1 이들은 왜곡된 녹음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재생 속도를 조절하여, 1950년대에 만들어진 녹음처럼 들리지만 연주자의 목소리와 컴퓨터가 만들어내는 소리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복원물"을 만들어냈다.1 흥미로운 점은 호주 CSIRAC 컴퓨터도 1951년에 음악을 연주했지만, 녹음이 이루어지지 않아 맨체스터에서 녹음된 음원이 "가장 오래된 현존 컴퓨터 음악 녹음"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5 이는 또한 컴퓨터 생성 음표가 1957년 벨 연구소에서 처음으로 들렸다는 '도시 전설'을 반박한다.2 맨체스터의 작업은 이보다 수년 앞선다.2
표 1: 초기 컴퓨터 음악의 주요 이정표
연도 사건 핵심 인물 의의 1951 맨체스터 마크 I 컴퓨터의 BBC 녹음 앨런 튜링, 크리스토퍼 스트래치 컴퓨터 생성 음악의 가장 오래된 현존 녹음 1 1957 MUSIC I 프로그램 맥스 매튜스 사운드 생성을 위한 최초의 널리 사용된 프로그램 7 1967 FM 합성 발견 존 차우닝 디지털 사운드 합성의 중추적인 돌파구 9 1979 페어라이트 CMI 킴 라이리, 피터 보겔 최초의 상용 샘플링 신시사이저; '샘플링' 용어 창시 11 1983 야마하 DX7 야마하, 존 차우닝 최초의 상업적으로 성공한 디지털 FM 신시사이저 9
2.1 맥스 매튜스와 벨 연구소의 르네상스
맥스 매튜스는 종종 '컴퓨터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며, 벨 연구소의 연구 노력에서 중심적인 인물이었다.7 벨 연구소는 독특하고 영향력 있는 기관이었는데, 연구자들이 자신의 관심사를 추구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받아 과학과 예술 모두에서 획기적인 발견을 이루어냈다.14 매튜스는 1957년에 벨 연구소에 입사하여 음향 연구원으로 일하며, 여가 시간에 IBM 704 컴퓨터를 이용해 음악을 작곡했다.14 IBM 704는 "최초의 대량 생산 슈퍼컴퓨터"였으며, 원래는 군사 및 과학 응용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매튜스에 의해 음악 작곡에 재활용되었다.14
2.2 MUSIC-N 프로그램군: 새로운 패러다임
매튜스의 MUSIC 프로그램은 "사운드 생성을 위한 최초의 널리 사용된 프로그램"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7 이 프로그램은 MUSIC I을 시작으로 MUSIC II, III, IV 등으로 발전하며 하나의 계열을 형성했다.16 MUSIC-N 계열 프로그램의 핵심 패러다임은 사용자가 '악기'를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으로 정의하고, '악보'를 음표, 길이, 음정을 지정하는 텍스트 파일로 작성하는 것이었다.16 이러한 시스템의 주요 입력 매체는 종종 천공 카드였다.17 천공 카드는 구멍의 유무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뻣뻣한 종이 기반 매체였으며, 초기 디지털 컴퓨터의 주요 프로그램 및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었다.18 천공 카드를 판독하는 컴퓨터 입력 장치는 분당 1,000장까지 처리할 수 있었다.18
2.3 기술적 교량: DAC의 역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는 이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했다.19 DAC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게 하는 필수적인 교량 역할을 했다.19 오디오 응용 분야에서 DAC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재구성하며, 이 신호는 앰프를 거쳐 스피커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소리를 만들어낸다.19
2.4 비실시간 작업 흐름: 근본적인 한계
이 시기는 '비실시간'(NRT) 합성의 개념으로 정의되었다.21 작업 흐름은 미리 작성된 "악보" 파일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면, 컴퓨터는 "가능한 한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했고 21, 그 결과물은 나중에 재생할 수 있도록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었다.17 이 과정은 "실행 중인 동안 프로세스와 상호 작용이 없었다"는 것이 특징이다.21 이러한 비실시간 모델은 음악을 계산 문제로 취급하는 학문적이고 비상호작용적인 작업 흐름을 확립했다. 이는 작곡 행위와 듣는 행위를 근본적으로 분리했다. 사용자의 창의적인 피드백 루프는 전체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끊어졌다. 이는 당시 컴퓨터가 "대규모, 고속 전자 계산기"로 여겨졌음을 시사하며, 음악은 단순히 새로운 유형의 계산에 불과했다.14 이러한 관점은 컴퓨터 음악이 진정한 퍼포먼스 예술 형식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변화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3.1 GROOVE 시스템: 간극을 메우다
맥스 매튜스와 L. 무어는 1968년에 실시간 퍼포먼스를 향한 중추적인 발걸음이었던 GROOVE 시스템을 개발했다.7 GROOVE는 제어는 디지털 컴퓨터가 담당하고, 사운드 생성은 아날로그 모그(Moog) 신시사이저 유닛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가졌다.17 이 시스템의 획기적인 특징은 노브, 스위치, 조이스틱, 그리고 나중에는 피아노 건반까지 포함된 상호작용적 인터페이스였다.17 이를 통해 오퍼레이터는 음악이 생성되는 동안 음악을 제어할 수 있었고, 이는 비실시간 모델에서 급진적으로 벗어난 것이었다.
3.2 미니컴퓨터와 학술 연구 허브의 등장
이 시대에는 DEC PDP-1과 같은 더 작고 접근하기 쉬운 기계들이 등장하며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졌다.23 MIT의 피터 샘슨은 특수 하드웨어와 정교한 텍스트 기반 프로그램인 '하모니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4부 하모니를 만들 수 있게 했다.23 이러한 발전은 사용자가 다루기 쉬운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맥길 대학의 MUSIC/SP와 같은 시스템이 개발되어 학생과 학자들에게 "단말기를 통한 상호작용 컴퓨팅"을 제공함으로써 번거로운 천공 카드 작업 흐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있었다.24
3.3 협업 연구 센터의 부상
컴퓨터 음악 연구를 전담하는 기관들의 중요성이 커졌다. 존 차우닝이 공동 설립한 스탠퍼드 대학의 컴퓨터 음악 및 음향 연구 센터(CCRMA) 9와 피에르 불레즈가 설립한 파리의 IRCAM이 대표적이었다.8 이 허브들은 아이디어와 인재의 신속한 교류를 촉진하여 발견의 속도를 가속화했다.8 MIT의 실험 음악 스튜디오(EMS)도 또 다른 중요한 혁신의 장소였다.27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비실시간에서 실시간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단순한 기술적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컴퓨터 음악의 철학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였음을 보여준다. 컴퓨터는 차갑고 계산적인 기계에서 라이브 퍼포먼스를 위한 표현적인 악기로 변모했다. 비실시간은 작곡가가 악보를 쓰고 연주자에게 넘기는 전통적 작곡 방식과 유사한 사전 연산에 관한 것이었다. 반면 실시간은 즉흥 연주, 실험, 그리고 훨씬 더 즉각적인 피드백 루프를 허용하는 직접 연주 모델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창의적인 응용을 전담하는 학술 센터의 부상을 이끌었다.
표 2: 미디 이전 음악 시스템 비교
시스템 이름 핵심 혁신가 기술 유형 주요 작업 흐름 핵심 기여 맨체스터 마크 I 튜링, 스트래치 디지털 비실시간(NRT) 최초의 컴퓨터 음악 녹음 1 MUSIC-N 계열 맥스 매튜스 디지털 비실시간(NRT) 합성을 위한 프로그래밍 표준화 16 GROOVE 시스템 매튜스, 무어 하이브리드 실시간 상호작용적 퍼포먼스 선구 7 일리악 스위트 힐러, 아이삭슨 디지털 비실시간(NRT) 최초의 컴퓨터 작곡 음악 6
4.1 FM 합성과 그 영향
1967년 스탠퍼드에서 존 차우닝은 우연히 주파수 변조(FM) 합성을 발견했다.9 이 기술은 간단한 과정으로 풍부하고 복잡한 음색을 생성할 수 있다는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9 한 파형의 진폭과 주파수가 다른 파형의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금속 타격"이나 "종소리"와 같은 풍부한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었으며, 이는 실제 타악기 소리와 놀랍도록 유사했다.9 이 발견의 상업적 영향은 엄청났다. 스탠퍼드 대학은 1974년에 이 특허를 야마하에 라이선스했으며 9, 이는 한때 대학의 다른 어떤 특허보다 "가장 수익성이 높은 특허"로 입증되었다.9 이로 인해 1983년에 출시된 야마하 DX7은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신시사이저'가 되었다.9 이 신시사이저는 1980년대 내내 수많은 인기곡에 사용되었다.9 FM 합성은 학술 연구소에서 태어난 기술이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사례였다.
4.2 디지털 샘플링의 탄생
샘플링의 기원은 1940년대 피에르 셰페르와 같은 선구자들이 테이프를 잘라 붙이고 반복하는 *뮤지크 콩크레트(musique concrète)*의 아날로그 세계로 거슬러 올라간다.6 디지털로의 기술적 도약은 1969년 두 대의 미니컴퓨터에서 실행된 최초의 디지털 샘플러인 EMS Musys와 1979년 최초의 상용 샘플링 신시사이저인 페어라이트 CMI의 출시로 이루어졌다.11 특히 '샘플링'이라는 용어는 페어라이트 CMI의 제작자들이 만든 것이다.11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컴퓨터 음악의 상업적 성공 가능성을 확립했지만, 기술이 일반 소비자에게 보급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는 이 시대가 고액의 기관 연구 환경과 초기 하드웨어의 엄청난 비용에 의해 제약되었기 때문이다.
4.3 엄청난 비용 장벽
이 시대의 경제적 맥락은 혁신을 소수의 엘리트 연구자들과 부유한 스튜디오에 국한시켰다. 1957년의 IBM 704는 120만 달러에 달했으며 14, 1979년의 페어라이트 CMI는 소매 가격이 약 30,000달러였다.12 이 비용은 1977년 초기 홈 컴퓨터인 TRS-80의 시작 가격인 600달러 29나 같은 시대의 고급 소비자용 스테레오 시스템 가격인 500~2,500달러 30와 비교하면 극도로 비싼 것이었다. 이러한 극명한 경제적 현실은 전체 서사의 숨은 원동력이었다. 이 시기는 훌륭하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혁신의 시대였다. 홈 컴퓨팅과 이후 미디의 민주화 효과는 기반 기술의 비용이 몇 자릿수 감소하여 대중 시장에 접근할 수 있게 될 때까지는 실현될 수 없었다.
표 3: 초기 음악 컴퓨팅의 경제적 맥락
항목
연도
가격(미국 달러)
소비자용 제품과의 비교
비고
IBM 704
1957
~120만 달러
모든 소비자용 제품보다 훨씬 비쌈
고가의 메인프레임 컴퓨터 14
페어라이트 CMI
1979
~3만 달러
대부분의 뮤지션에게는 감당할 수 없는 가격
최초의 상용 샘플링 신시사이저 12
TRS-80 홈 컴퓨터
1977
600달러
이 시대의 저렴한 컴퓨터 29
1970년대 후반의 주요 홈 컴퓨터 29
일반적인 1970년대 스테레오 시스템
1970년대
5002,500달러
홈 컴퓨팅보다 비교적 저렴함 30
일반 소비자용 오디오 장비 30
5.1 독점적 생태계의 문제점
미디 이전 시대의 핵심 문제는 완전한 상호 운용성 부재였다. 이는 각기 다른 제조사의 전자 악기들이 "독점 프로토콜, 맞춤형 인터페이스, 커넥터 유형"을 사용했기 때문에 서로 통신할 수 없었음을 의미한다.31 심지어 당시의 선구적인 신시사이저인 시퀀셜 서킷 프로펫-5, 롤랜드 SH-101, 코르그 MS-20과 같은 악기들도 기본적인 제어 전압(I/O)을 제외하고는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공유된 형식이 없었다.32 이러한 분열은 음악가들에게 심각한 창의적 도전을 제기했다. 예를 들어, 음악가는 롤랜드 키보드를 야마하 신시사이저 모듈에 연결할 수 없었다.31 이 뿐만 아니라,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도 음악적 표현의 제어에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제어 휠을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화음의 모든 음에 영향을 미치므로 개별 음에 비브라토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했는데, 이는 중요한 창의적 제약이었다.32
5.2 결론: 미디를 위한 무대가 마련되다
초기의 우연한 돌파구부터 고도로 전문화되고 기관 중심적이며 값비싼 연구 시대까지, 미디 이전의 컴퓨터 음악 역사는 훌륭했지만 파편화된 혁신의 시기였다. 이러한 파편화는 창의적, 상업적 난국을 초래했다. 그 해결책은 또 다른 독점 시스템이나 새로운 합성 알고리즘이 아니라, 서로 다른 기술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보편적인 통신 프로토콜이었다. 이러한 파편화된 기술의 총체적인 역사는 결국 미디의 탄생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미디의 성공은 새로운 사운드 생성 기술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미디 이전 시대 전체를 괴롭혔던 핵심적인 상호 운용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었다. 미디 메시지가 "실제 오디오 신호나 오디오 속도 변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은 32, 미디의 본질적 역할이 사운드 자체를 혁신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고립되어 있던 훌륭한 기술들이 마침내 함께 작동할 수 있는 통신 계층을 제공하는 데 있음을 시사한다. 이 시대의 한계는 미디 표준 개발의 직접적이고 최종적인 촉매제였다. 참고 자료 Hear the First Computer Generated Music Ever Made,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log.sheetmusicdirect.com/2016/09/exciting-research-done-in-new-zealand.html (PDF) Turing and the History of Computer Music - ResearchGate,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8135911_Turing_and_the_History_of_Computer_Music Listen to the First Computer-Made Tune on Alan Turing's Synthesizer,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listen-first-recording-alan-turing-playing-tune-synthesizer-180960586/ Christopher Strachey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Christopher_Strachey Computer Music Played on the Ferranti Mark 1, he Oldest Known Recordings of Computer Music - History of Information,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istoryofinformation.com/detail.php?id=1321 Appendix: A Chronology of Computer Music and Related Events - Oxford Academic,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cademic.oup.com/edited-volume/28207/chapter/213203125 Max Mathews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Max_Mathews Short History of Computer Music,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code.arc.cmu.edu/archive/dmgftp/public_media/kwon/cellist/documents/Short%20History%20of%20Computer%20Music.htm John Chowning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John_Chowning John Chowning - Sound On Sound,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oundonsound.com/people/john-chowning Sampling (music)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Sampling_(music) Sampler (musical instrument)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Sampler_(musical_instrument) History of FM Synthesis - Music and Computers,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ites.music.columbia.edu/cmc/MusicAndComputers/chapter4/04_07.php The Music of Bell Labs | Red Bull Music Academy Daily,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daily.redbullmusicacademy.com/2016/05/bell-labs-music-feature/ Max Mathews Makes MUSIC - CHM Revolution,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omputerhistory.org/revolution/computer-graphics-music-and-art/15/222 MUSIC-N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MUSIC-N Music-Film-Computers - CHM,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omputerhistory.org/blog/music-film-computers/ Punched card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Punched_card Digital-to-analog converter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Digital-to-analog_converter Digital to Analog Converters - Audioengine,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udioengine.com/components/digital-to-analog-converters/ Non-Realtime Synthesis (NRT) | SuperCollider 3.13.0 Help,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depts.washington.edu/dxscdoc/Help/Guides/Non-Realtime-Synthesis.html Non-Realtime Synthesis (NRT) | SuperCollider 3.14.0 Help,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doc.sccode.org/Guides/Non-Realtime-Synthesis.html PDP-1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PDP-1 MUSIC/SP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MUSIC/SP 120years.net,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120years.net/tag/ccrma/#:~:text=In%201974%2C%20with%20John%20Grey,computer%20music%20and%20related%20research. IRCAM: Institute For Research & Co-ordination in Acoustics & Music - Sound On Sound,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oundonsound.com/people/ircam-institute-research-co-ordination-acoustics-music EMS - MIT Media Lab,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EMS/ MIT Spatial Sound Lab – Community studio for immersive sound since 2019,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patialsoundlab.mit.edu/ TRS-80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TRS-80 1970s Stereo System - Etsy,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tsy.com/market/1970s_stereo_system MIDI - Wikipedia,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MIDI What's Wrong with MIDI? - Perfect Circuit, 9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perfectcircuit.com/signal/whats-wrong-with-midi